국립극장 전속단체 국립무용단은 12월 19일부터 25일까지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향연(饗宴)’을 공연한다. ‘향연’은 2015년 초연 이후 4년 연속 다섯 차례에 걸친 공연에서 모두 매진을 기록하며 한국무용계 흥행 신화를 새로 쓴 화제작이다. 6년 만에 다시 돌아온 이번 무대에서 격조 높은 우리 춤의 정수를 다시금 선보일 예정이다. ‘향연’은 국내 최다 전통 춤사위 보유자로 알려진 전통춤의 원류 조흥동과 한국무용계 대가 이매방·김영숙·양성옥이 안무, 다양한 문화예술 분야에서 창작자로 활동하는 정구호가 연출을 맡은 작품이다. 궁중무용부터 종교무용, 민속무용까지 총망라한 무대에 감각적이고 세련된 미장센이 더해져 ‘전통은 고루하다’라는 편견을 허물고 국립무용단의 대표 브랜드 공연으로 자리매김했다. 한국 춤을 봄·여름·가을·겨울이라는 4계절의 테마로 담아낸 이 작품은 소품 형식의 전통 무용 레퍼토리 11종을 계절의 흐름에 따라 배치했다. 1막(봄)은 연회의 시작을 알리는 궁중무용으로 ‘전폐희문’ ‘가인전목단’ ‘정대업지무’의 춤을 새롭게 재구성했다. 2막(여름)은 ‘바라춤’ ‘승무’ 등 기원 의식을 바탕으로 한 종교 제례무용으로 구성했다. 3막(가을)은 다양한
경기아트센터는 경기도무용단이 오는 29일과 10월 14일 두 차례에 걸쳐 경기아트센터 소극장에서 ‘토요상설무대 – 춤의향연’을 진행한다고 18일 밝혔다. 70여 분간 이어질 무대는 4년 만에 부활한 토요상설공연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탄이다. 토요상설공연에선 경기도무용단이 보유한 주요 레퍼토리 작품들을 한눈에 볼 수 있다. 특히 7월 공연은 한국무용을 중심으로 꾸며져, 전통미를 느낄 수 있다. 공연은 13명의 무용수가 하나의 흐름이 된 부채춤으로 시작한다. 이후 사랑이라는 소재를 춤 언어로 풀어낸 남녀 2인무 사랑가, 전남 진도의 지역적 색채를 담은 남성 진도북춤, 여러 가지 리듬변화가 돋보이는 여성 장구춤까지 화려한 춤의 향연이 이어진다. 피날레는 북의 시나위다. 30명의 남녀무용수가 꾸미는 북의 시나위는 김상덕 경기도무용단 예술감독의 대표 레퍼토리다. 500석 규모의 무대를 가득 채우는 웅장함과 우리 민족만이 느낄 수 있는 고유 연주형태가 돋보인다. 고요한 해오름의 장중함을 시작으로 좌고, 모둠북, 이동북 등을 이용해 한민족의 단합된 힘을 표현한다. 관객들에게 한국무용의 에너지와 매력을 전달할 예정이다. 또한 이번 공연은 2023년 경기도예술단 레퍼토리 시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