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도내 중소기업 유동성 지원을 위한 정책자금이 지난해 절반 수준인 6천억원 내외로 줄어들 전망이다.
더욱이 자금 배정방식이 특정 기업만을 위한 선별적 방식 위주로 변경돼 중소기업들의 자금난이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6일 중소기업 진흥공단 경기지역본부에 따르면 올해 전국 중소기업 정책자금 규모는 2조8천355억원으로 확정됐다.
지난해 전체 자금 대비 20% 수준이 도에 편성된 것을 감안할 경우 올해는 약 5천600억원 규모의 정책자금이 배정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지난해(9천106억원)에 비해 절반 가까이 줄어든 셈이다.
이와 함께 중진공은 운영기조를 기술 및 사업성 등에 비중을 두고 정책자금 지원 방식을 선별적으로 전환한다는 방침이다.
녹색·신성장동력 산업은 정책자금 비중이 15%로 전년대비 5배 확대되며 지식서비스업 역시 지난해의 2배가 넘는 5%로 증가된다.
특히 올해부터 새로 시작되는 기술사업성 산업의 경우 자금 신청시 재무재표 평가에 관계없이 기술사업성 등급만으로 자금지원 여부를 판단하게 되며 지원 규모도 비교적 큰 10% 정도가 배정된다.
중진공 경기지역본부 관계자는 “경기도에 배정될 예상 정책자금이 지난해 대비 절반 수준으로 크게 줄어들 전망”이라며 “하지만 지난해 대규모 정책자금 지원으로 도내 기업들의 유동성이 어느정도 확보 됐다고 판단해 올해에는 ‘성장잠재력 확충’과 ‘기술사업성 선별지원’으로 운영기조가 전환된 것 같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도내 일부 중소기업들은 중소기업 전체를 위한 자금지원이 아닌 특정 업체만을 위한 정책이라며 기업운영 차질을 우려했다.
도내 A기업 관계자는 “지난해 정책자금이 대규모로 지원됐다고 하지만 정책자금 신청접수 시 하루만에 조기소진되는 등 기업들은 아직도 자금난에 허덕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더욱이 올해부터는 자금 지원 대상 기업이 기술력 및 신성장산업 등으로 편중돼 자금 지원을 기다려온 기업들은 올해 불어닥칠 경영난을 어떻게 피할지 난감하다”고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