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여성 관리직공무원 임용목표제’를 도입, 5급 이상 여성관리자 비율을 17%까지 확대한다.
또 기획·예산·인사·감사 등 주요부서의 여성공무원 배치를 확대하고, 여성리더 교육프로그램 등 직급별 여성인력 양성방안을 시행한다.
최봉순 도 자치행정국장은 31일 브리핑을 통해 여성 공직자에게 시대 흐름에 맞는 지위와 역할을 부여하고, 여성 공직자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이 같은 방안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도는 우선 지난해말 기준 5.8%에 불과한 5급 이상 여성관리자 비율을 5개년 개획을 통해 오는 2016년까지 17%로 확대한다.
이를 위해 올해 5급이상 여성관리자 비율 목표를 6.8%에서 7.2%로 상향 조정한 뒤 2013년 9.3%, 2014년 11.5%, 2015년 14.3%, 2016년 17% 등 단계별로 늘린다.
특히 직급별 여성인력 양성을 위해 기획·예산·인사·감사 등 22개 주요부서의 105개 담당 중 현재 4명에 불과한 5급(사무관급) 여성담당을 10명 이상으로 확대하고, 6급(주무관급) 여성담당 역시 전체 여성공무원 비율에 근접토록 주요부서 배치를 확대한다.
또 4급 부단체장급 이상 인사시 고시·비고시 간 적정안배, 실·국 주무과장과 주무담당 간 교차보직 확대, 고시자원의 특정 실·국 편향배치 지양, 신규 고시충원 인원의 안배 등 균형인사를 시행해 7~9급 출신 공직자의 사기를 높이기로 했다.
이와 함께 4급 승진대상자 역량평가제 도입 및 심사시 중앙부처 장기근무자 우대, 격무 중앙부처 파견복귀자(4·5급) 희망보직제 적용 등 관리직공무원 정책역량을 강화하기로 했다.
최봉순 국장은 “안으로는 소통·배려·균형·전문·책임 등의 희망인사를 실천해 내부 화합을 도모하고, 밖으로는 균형감각을 갖춘 다양한 전문인재를 양성해 행정서비스 질을 높여갈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