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와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가 민생위기에 대한 책임 공방을 벌였다. 출자총액제한제 등 경제민주화 및 재벌개혁 등을 놓고도 가시돋힌 설전이 이어졌다.
10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주최한 18대 대선후보 2차 TV토론에서 박 후보는 참여정부 시절 중산층이 붕괴돼 양극화가 심화됐다며 “참여정부 연장선”이라고 지적했고, 문 후보는 이명박 정부의 5년간 물가와 가계 부채가 급증했다고 맞받으며 “이명박 정부가 심판받을 차례”라며 경기침체 장기화에 대한 책임을 놓고 설전을 벌였다.
문 후보는 박 후보에게 “박 후보도 이명박 정부를 민생에서 실패한 정부라고 했다”며 “민생만 실패한 것이 아니라 민주주의와 경제성장, 남북관계, 지방 균형발전이 파탄났다. 물가도 많이 오르고 가계 부채도 너무 크게 증가했다”고 공동 책임을 추궁했다.
이에 대해 박 후보는 “참여정부 당시 부동산 값이 최고로 뛰었고, 양극화가 가장 심해졌다. 등록금도 역대 최고로 올랐다”며 “양극화와 중산층 붕괴가 가장 심한 것이 참여정부였다. 중산층 비율이 69%에서 63%로 떨어졌고, 가계부채 및 대학등록금이 급등했다”며 “문 후보의 경제정책을 보면 실패한 참여정부의 정책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반격했다.
그러자 문 후보는 박 후보의 지적에 대해 인정하면서도 “참여정부와 지금 이명박 정부를 비교하면 양극화, 민생파탄도 이명박 정부에서 훨씬 심해졌다는 것을 온 국민들이 다 알고 있다”며 “경제성장률도 2%대까지 떨어졌고 국가 경쟁력 순위도 11위에서 지금 24위로 추락했다”고 비판했다.
한편 통합진보당 이정희 후보는 1차 토론에 이어 시종일관 박 후보를 겨냥해 “최저임금이 얼마인지 아는가. 내년의 경우 얼마인지 아는가”, “최저임금을 못 받는 노동자 비율은 어느 정도인가”라고 따져물었다.
이에 대해 박 후보는 “스무고개 하듯 상대방이 모르면 ‘골탕 한 번 먹여야지’ 하는 식으로 하는 것은 바람직한 대선 토론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비난하기도 했다.
박·문 후보는 경제민주화를 놓고도 격한 공방을 벌였다.
박 후보는 “문 후보의 경제민주화 핵심공약을 보면 참여정부 시절에 약속하고도 지키지 않은 내용이 많다. 출총제 무력화, 계열분리 철회, 공정위 전속고발권 폐지 약속을 지키지 못했는데 왜 이번에 약속으로 내걸었느냐”면서 “공동정부를 구성한다면서 참여하는 분들이 이런 핵심정책에 대해 문 후보와 반대 입장일 수도 있는 것 아니냐”고 따졌다.
이에 문 후보는 “안철수 전 후보, 시민사회 등과 통합의 정치를 한다고 해서 100% 모든 정책이 일치할 수는 없다. 99% 일치할 수 있고 나머지 1%는 문재인 정부가 결정할 수 있다”면서 “계열분리 명령제는 공약한 적이 없고 출총제는 이명박 정부에서 폐지해 10대 재벌 계열사가 300개 이상 증가한 것”이라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