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경기도의회 민주통합당이 비주류 의원들을 중심으로 ‘대표 불신임’을 위한 단체행동에 나서며 당내 주류와 비주류간 갈등이 심화(본보 1월23일자 3면 보도)되고 있는 가운데, 김주삼 대표의원이 이에 대한 적극 대응키로 하는 등 정면 돌파에 나섰다.
도의회 민주당 김주삼(군포) 대표의원은 23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일련의 사태에 대한 수습책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민주당내 초선의원 중심의 비주류계 일부 의원들은 김 대표의원의 불신임을 담은 서명안에 대한 동의작업에 착수, 오는 28일 열리는 의원총회를 통해 김 대표에 대한 사퇴를 촉구할 예정이다.
이에 대해 김 대표의원은 비주류 의원들이 주장하는 정치적 리더십 부족과 소통부재 등과 관련해 “이같은 사태가 발생한 것 자체로 리더십 부족을 인정할 수 밖에 없다”면서도 “대표에 선출되고 다른 후보를 지지하던 의원들을 대거 지도부와 상임위원장에 배치하는 등 소통을 위해 노력했음에도 소통이 부족하다라는 의견이 있어 안타깝다”고 말했다.
이어 “예산 늑장처리와 관련해서는 당시 상황이 새누리당과 계수조정소위 구성과 관련해 합의가 이뤄지지 않는 상황에서 민주당 단독으로 강행처리할 경우 대선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최대한의 합의를 이끌어내려고 노력했을 뿐”이라며 “대선 당시 지역구 활동에 바빠 다른 의원들을 격려하고 챙기지 못한 점은 인정하지만 이것이 대선 패배의 원인이라고 규정하는 것은 너무하다”고 서운한 심경을 토로했다.
김 대표는 “이번 사태와는 별개로 임기 문제 등 당초 공약사항에 대해서는 무슨일이 있어도 지킬 것이고 지키지 못할 경우 스스로 물러날 것”이라며 “만약 비주류가 구체적인 이유를 제시해 그것이 타당하다면 받아들이겠지만 지금같은 이유라면 원칙대로 진행할 수 밖에 없다”고 일축했다.
이는 의총을 통해 의원들이 불신임안을 상정할 경우 받아들이겠지만 자진사퇴는 하지 않겠다는 뜻이다.
불신임안의 경우 국회와 동일하게 전체 의원의 3분의 2가 참석한 상황에서 3분의 2 이상 찬성해야 통과된다. 이에 따라 김 대표의 불신임안이 통과되기 위해서는 총 48명 이상의 의원이 찬성해야 하기 때문에 통과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김 대표는 오는 25일에는 부대표단과 민주당 소속 상임위원장들과 연석회의를 갖고 이번 사태에 대한 설명과 논란에 대한 적극 해명에 나설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