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명의 사상자를 낸 삼성전자 화성사업장의 불산 누출사고와 관련한 대책 마련에 경기도의회도 바빠졌다.
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는 30일 당초의 상임위 일정을 조정, 예정에 없던 삼성전자 화성사업장의 불산 누출사고 현장을 방문해 사고경위를 조사하고 조치사항 등을 확인하는 등 긴급 점검활동을 벌였다.
도시위는 이날 도와 삼성전자 측으로부터 사고경위 및 수습 진행상황을 보고받고 사전 안전조치 부족과 사고 은폐 의혹 등을 집중 추궁했다.
이어 불산을 비롯한 독극물을 취급하는 도내 28개 업체에 대한 전수조사와 노후시설에 대한 교체명령 등 철저한 행정지도·감독 등을 집행부에 촉구했다.
도시위는 31일 열리는 환경국과 보건환경연구원에 대한 업무보고에서도 이같은 점을 확인한다는 방침이다.
행정자치위원회도 이날 열린 소방본부에 대한 2013년도 업무보고에서 불산가스 누출사고 수습 대응에 대해 집중 질의했다.
의원들은 이날 국가기관의 안전사고 대응체계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고 환경부를 비롯한 국가·소방·자치단체 간 사고대응체계 구축을 주문했다.
또 지방자치단체의 유해화학물질 관리에 관한 권한과 책임 강화, 사고발생 시 소방공무원 등 국가기관이 강제로 사고현장에 진입해 대응할 수 있도록 유해화학물질관리법 등 법령 개정과 조례 제정 등의 다양한 방안 강구 등도 요구했다.
도의회 민주통합당은 보도자료를 통해 “늑장 신고와 저장탱크 밸브 관리미흡, 직원 대피 소홀 등 대한민국 최고의 기업인 삼성의 사고처리과정이 실망스럽다”며 “삼성전자는 최근에 발생한 불산 누출 사고에 대해 모든 것을 사실대로 밝히고 더 이상 의혹을 남기지 말아야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경기도는 불산누출 사고가 발생한 삼성전자 반도체 화성사업장에 대해 유해화학물질 관리법 위반여부에 대해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며 “다시는 삼성전자 불산 누출사고와 같은 인재가 발생하지 않도록 정부는 화학물질 관리대책을 재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