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가 도의원들의 관광성 외유를 차단하기 위한 조례를 자체적으로 완화하는 ‘수정조례’조차 부결시켜 비난을 자초한 가운데, 의원들이 내년 지방선거를 의식한 상반기 무더기 해외연수를 추진해 물의를 빚고 있다.
특히 이같은 몰아치기 해외연수를 위해 자신들이 정한 연수 방식을 변경한 것은 물론, 국외공무여행 심사기준도 어기고 진행되면서 논란이 가중되고 있다.
13일 도의회에 따르면 지난달 해외연수를 다녀온 도시환경위원회를 포함해 총 9곳의 상임위원회가 2~4월 중 해외연수를 계획중이다.
지난달 베트남으로 해외연수를 다녀온 도시환경위원회를 비롯해 2월에는 여성가족평생교육위원회가 16일부터 22일까지 베트남·라오스로 떠나고 농림위원회가 17일부터 21일까지 일본으로, 경제과학기술위원회가 21일부터 25일까지 싱가폴과 말레이시아로 각각 연수에 나설 계획이다.
다음달에는 보건복지공보위원회가 15일부터, 건설교통위원회와 기획위원회·문화체육관광위원회가 모두 18일에 싱가폴과 말레이시아로 연수길에 오를 예정이다. 교육위원회는 4월 중 동남아 연수를 계획 중이다.
당초 도의회는 의원 1인당 해외연수를 위해 연간 180만원의 예산이 배정됐고, 한정된 여비로 갈 수 있는 곳이 가까운 동남아국가인 탓에 해외연수 때마다 관광성 외유라는 지적을 받은 점을 감안, 8대 의회인 2010년부터 해외연수를 격년제로 시행해 2년치 여비인 1인당 360만원으로 연수를 진행했다.
당시 의원들은 이같은 운영방식 변경을 통해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을 연수지로 택할 수 있어 제대로 된 해외연수의 취지를 살릴 수 있다고 크게 환영했었다.
하지만 의원들은 2년만에 자신들이 합의해 내린 결론을 손바닥 뒤집듯 ‘원위치’ 시켰다.
이유는 내년에 8대의회가 끝나는 시점인 7월까지의 해외연수 배정액이 180만원의 절반인 90만원으로 절반에 불과하다는 점과 6월에 있을 지방선거로 인해 연초부터 선거운동에 집중해야 하는데 시빗거리를 자초하지 않겠다는 속셈 때문이다.
결국 올해 당초 의원들이 주장했던 해외연수 취지를 살린 곳은 행정자치위원회 1곳에 그치고 있다. 이들은 180만원의 경비에 260여만원의 자비 부담을 보태 3월 중 영국과 프랑스·스위스·이탈리아로 선진지 견학에 나설 예정이다.
이같은 상임위별 무더기 해외연수가 편법이라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경기도의회 의원 공무국외여행 규칙’ 제6조 제2항은 ‘특정시기에 편중되지 않도록 한다’고 규정돼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8개의 상임위가 상반기 중으로 연수를 떠나는 것은 물론 문광위를 포함한 3개 상임위의 경우 동일한 날짜에 동일한 해외연수지로 떠나면서 논란을 자초하고 있다.
도의회 관계자는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모든 상임위가 올해 해외연수를 희망해 결국 당초대로 180만원으로 가는 것에 합의했다”면서 “상임위별로 상반기 비회기에 맞춰 잡다보니 의도하지 않게 일정이 겹치게 됐지만 의정활동 공백없이 해외연수를 통해 발전된 의정활동을 펼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