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 영화제’ 외유와 거짓 해명 등 도덕성 논란으로 사퇴압박을 받고 있는 경기도의회 윤화섭(민·안산) 의장이 결국 자진 사퇴를 거부, 도의회가 파행을 거듭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여야 대표가 윤 의장의 사퇴를 위해 공동 대응하기로 합의를 이끌어내 사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지만, 민주당 내부 반발에 부딪쳐 무산되면서 윤 의장 사태가 악화일로를 치닫고 있다. ▶관련기사 3면
11일 도의회에 따르면 민주당 김경호(의정부) 비상대책위원장과 새누리당 이승철(수원) 대표의원은 김 위원장의 요청으로 긴급 회동을 가졌다.
양당 대표들은 1주일의 유예기간을 갖고 그동안 양당이 공동으로 윤 의장의 자진 사퇴를 요구키로 했다. 의장이 자진사퇴를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양당 공동 발의로 의장에 대한 불신임안을 제출한다는 계획이었다.
새누리당은 의원총회를 통해 이같은 협의안을 받아들이기로 결정했지만, 정작 협의안을 제안한 민주당은 내부 반대에 부딪치며 표결을 통해 협의안을 부결시켰다.
이번 협의안이 김 위원장의 개인의견일 뿐만 아니라 비대위와 사전 상의하지 않고 의총도 거치지 않아 절차상 문제가 있다는 것이 이유였다.
이같은 민주당 의총 결과에 대해 비대위는 당황한 기색이 역력했다. 자칫 민주당이 당론을 뒤집고 ‘윤 의장 지키기’에 나서 비호하는 것으로 비춰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이에 비대위는 윤 의장이 자진 사퇴해야 한다는 당론에는 변함이 없음을 재차 강조했다.
또한 의총 과정에서 새누리당과 별개로 민주당 발의로 불신임안을 내야한다는 의견과 함께 윤리위원회 회부는 물론 출당조치까지 해야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는 점을 들어 이번 표결 결과가 의장의 사퇴와 불신임안 등에 대한 반대가 아닌 비대위의 결정 방식에 대한 반대임을 분명히 했다.
하지만 이같은 비대위 해명에도 불구, 새누리당은 물론 민주당 내부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
의총 과정에서 협의안 수용이 부결됐을 경우 곧바로 당론을 거부하고 있는 윤 의장에 대한 처리 여부를 논의해야 함에도 비대위가 곧바로 의총을 해산했고, 의총이 끝난 후에도 다음 의총 일정이나 비대위 회의 일정조차 잡지 않으며 민주당 내부에서조차 비대위가 이번 사태를 유야무야 넘기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꼼수’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특히 윤 의장이 의총에 앞서 이번 사태의 본질과 달리 자신에 대한 ‘정치적 탄압’이라고 주장하는데다 국민권익위원회의 조사 결과 아무런 문제점도 발견되지 않았다며 결백을 주장하고 나서는 등 일부 윤 의장 옹호 의원들이 의장 사퇴에 반대명분을 축적하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권익위는 그러나 “현재 윤 의장에 대한 몇 가지 문제점이 발견돼 법적 검토를 거치는 과정”이라며 “이번 주 안으로 결과보고서를 작성에 의회에 통보할 계획”이라고 밝혀 거짓말 논란도 더해주고 있다.
윤 의장을 둘러싼 사태가 여야의 대립 양상을 떠나 민주당 내부의 자중지란으로 번지면서 민주당의 처비여부 및 향후 대응이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