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1 (금)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中, 민·관 ‘사드 보복’ 전면전

민·관 한국관광 취소 잇따라
지자체·관련업계 긴장 고조
경제·문화적 갈등 확산 조짐

중국의 주한미군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사드) 배치에 대한 보복 움직임에 민·관 한국관광 및 관광 행사가 취소되는 등 피해가 가시화되고 있어 경기도 등 지자체는 물론 국내 여행·항공업계들도 바짝 긴장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한국·중국간 군사적 문제가 양국 국민들 사이에 제품 불매 움직임 등 경제·사회·문화적 갈등으로까지 확산될 조짐이 보여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다.

5일 경기도와 인천시, 여행·항공업계 등에 따르면 중국 당국이 주한미군의 사드 배치에 대한 대응 조치로 오는 15일 이후 자국 여행사에 한국 관광 상품을 팔지 말라는 지침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각 지역에서 단체 관광객을 중심으로 유커(중국인 관광객)들의 민·관 한국 여행 취소 사례가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중국의 화장품 제조·판매사 코우천그룹은 다음달 17∼21일 인천에서 기업회의를 열고 임직원 4천명에게 포상관광 혜택을 제공할 예정이었지만, 방한계획을 돌연 취소했다.

중국 의료기기업체 유더그룹 임직원 1만2천명도 이와 비슷한 방법으로 방한하려다가 4월로 연기됐지만 이마저도 불투명해졌고, 지난해 이맘 때 월미도 치맥 파티로 유명해진 중국 아오란그룹 역시 올해 방한을 약속하는 협약을 인천시와 체결했지만, 지금까지 일정 협의조차 이뤄지지 않고 있다.

경기관광공사는 다음달 중순 중국 베이징과 광저우에서 개최 예정이던 민·관 합동 경기관광 로드쇼를 취소했다.

최근 사드 관련 중국 내 여행사들의 반응이 좋지 않기 때문으로, 도는 오는 6월 중국내 국내 의료기 판매 직원과 구매자 경기도 초청 계획, 8월과 9월 중국 상하이와 선양에서 열릴 예정인 경기도 상품 전시회 등 각종 중국 관련 행사에 차질을 빚지 않을까 노심초사하고 있다.

여행·항공업계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여행업계의 경우, 피해가 불보듯 뻔한 인바운드 위주의 여행사와 달리 아웃바운드는 아직 큰 피해는 없는 상황이지만, 규제 여파가 본격적으로 미치면 장담할 수 없다.

안양 소재 K여행사 최모(42) 대표는 “이전 중국여행을 예약한 고객은 아직까지 연기나 취소 등 피해가 없지만, 이달 들어 여행을 가려는 고객들은 전세기가 취소되는 등 사드에 따른 규제 여파가 가시화되고 있다”며 “여행사들 사이에서도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고 전했다.

항공업계는 중국발 예약 감소와 같은 뚜렷한 여파는 없지만, 한국행 유커 중 국내 항공사가 수송하는 비중이 큰 만큼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대한항공은 지난해 4분기 기준으로 중국 28개 도시에서 38개 노선을 운항 중이다. 노선별 매출 비중을 보면 중국이 13%로 미주(27%), 동남아(20%), 구주(16%) 다음으로 높다.

아시아나항공은 같은 기준으로 중국 24개 도시, 32개 노선을 운항하고 있다. 중국 노선 매출은 2천100억원으로 전체의 19.5%를 차지한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가시적인 영향은 아직 없지만, 이번 조치가 개별 여행객들도 포함되는 등 상황이 어떻게 급변할 지 미지수인 만큼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제는 이러한 국가간 군사적 갈등이 국민들에게 영향을 미치며 경제·사회·문화적 갈등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일례로 최근 양꼬치 열풍으로 칭다오 맥주가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일부 소비자들 사이에서 중국의 사드 보복에 맞서 불매운동을 펼쳐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의견이 제기되기도 했다.

중국 베이징에서 왔다는 한 여성 여행객은 “한국의 화장품과 패션이 좋아 매년 1~2번씩 한국을 찾았는데, 사드 배치 얘기를 듣고 솔직히 기분은 좋지 않았다”며 “국가에서 안전 문제를 내세우며 이런 조치를 하면 따라야 하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

국내 한 네티즌은 “우리만 당하고 있을 수 없다. 똘똘 뭉쳐 중국 여행 가지 말고 칭다오 마시지 말자”고 제안했고, 적지 않은 네티즌들이 동조했다.

이에 대해 시민 김모(48·수원)씨는 “똑같이 대응한다면 중국과 다를 게 뭐가 있나”라며 “양국 이해 관계가 서로 얽혀 있는 상황에서 감정적으로 대응하는 것은 더욱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김장선·김현진기자 kjs76@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