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5당 대표는 7일 문재인 대통령과의 청와대 오찬 회동에서 향후 북한의 비핵화 프로세스와 4월 남북정상회담의 의미를 놓고 엇갈린 평가를 내놓았다.
또한 6·13 지방선거와 개헌 국민투표를 동시에 실시하는 문제를 놓고도 저마다 다른 의견을 냈다.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는 대북특사단의 방북 성과를 부각하면서 ‘항구적 평화체제 구축’에 방점을 찍었다.
하지만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표는 “북한에 속아선 안 된다. 대통령께서 과거에 북한에 속았던 전철을 이번에는 밟지 마시기를 부탁드리러 왔다”며 이른바 북한의 ‘위장평화’ 공세를 비판했고, 바른미래당 유승민 공동대표는 “북한의 말보다 행동이 중요하다”며 상호주의에 입각한 대북협상을 주문했다.
추 대표는 “홍 대표가 북한의 의도에 속지 말아야 한다는 경계의 말씀 주신 것은 중요하다. 하지만 북한 의도를 알아내기 위해서라도 대화는 필요하다”며 “한미동맹 균열은 안 된다고 (유 공동대표가) 말했는데 그에 대한 오해는 불식해도 된다”고 언급했다. 민주평화당 조배숙 대표와 정의당 이정미 대표는 초당적인 안보협력을 강조하며 추 대표의 발언에 힘을 실었다.
문 대통령은 남북정상회담과 관련, “남북간 대화를 통한 비핵화의 약속, 미국과 북한 사이의 대화, 이런 부분은 남북만의 노력만으로는 안되고, 결국 남북과 미국 3국간의 노력이 필요하다”며 “국제사회 긴밀한 협조가 반영돼야만 정상회담을 할 수 있는데, 그런 여건이 조성됐다고 판단해 정상회담을 하는 것”이라고 발언했다.
문 대통령은 현 상황과 관련해 “현재는 살얼음판을 걷는 상황으로, 성급한 낙관을 해서는 안 된다”며 “(반대로) ‘다 안될 거다, 저쪽에 놀아날 거다’ 라고 해서도 안 된다”고 말했다고 박 수석대변인이 전했다.
또 개헌과 관련, 문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는 국민과의 약속이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정부 발의까지 불사하겠다는 뜻을 내비쳤지만, 민주평화당 조배숙 대표와 정의당 이정미 대표 등은 국회에서 개헌을 주도해야 한다며 정부주도 개헌 논의에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다.
문 대통령은 “국회가 필요한 시기까지 개헌안을 발의하지 않으면 정부가 발의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개헌은 대선 공약으로, 국민에 대한 약속을 지키려면 국회에서 노력하는 게 필요하다”며 이같이 말하고 “지금 국회에서 (개헌 논의에) 속도가 안 나 답답하다. 속도를 좀 내달라”고 당부했다.
조 대표는 “국민의 대의기관인 국회에서 하는 것이 맞다. 정부 주도의 개헌 논의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했고 이 대표 역시 “국회가 주도해 개헌 논의를 이끌어야 하고 각 정당은 개헌안을 내놓아야 한다”며 “대통령도 시기에만 집착해서 무늬가 엉성한 개헌을 추진하려고 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이날 회동에는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와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표, 바른미래당 유승민 공동대표, 민주평화당 조배숙 대표, 정의당 이정미 대표가 참석했다.
특히 지난해 7월과 9월에 개최된 회동에 불참했던 홍준표 대표가 참석, 첫 완전체 회동이었다./임춘원기자 l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