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경기연구원 “화학 노출 사고로부터 안전 위해 위험지역 설정‧관리 필수”

연구원, <화학 노출 사고로부터 안전은 위험지역 설정부터> 보고서 발간

 

대형 피해를 일으키는 화학사고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화학사고 위해도가 높은 지점 반경 500m~3km를 ‘위험지역’으로 설정해 실내대피 관리체계 등을 구축하자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7일 경기연구원에 따르면 연구원은 이같은 내용의 위험지역 설정‧관리 전략 마련과 토지이용규제의 법제화를 제시했다.

 

국립환경과학원의 화학물질 정보시스템 자료를 보면 지난 2016년부터 5년간 발생한 화학사고는 총 350여 건으로, 도에서는 매년 19건 안팎의 사고가 발생했다.

 

연구원은 급격한 도시화와 산업화에 따른 난개발로 완충녹지가 확보되지 못한 상태에서 산업단지와 주거지역이 인접해 화학사고 피해는 더욱 우려된다고 보고 있다.

 

그 사례로 2012년 경북 구미 불산 누출사고로 3km 반경 주민 대피, 2018년 경북 영주 불산 누출사고로 2km 반경 주민 대피, 같은 해 인천 폐유 정제 화재사고로 인한 공장 6개동 소실 등이 있다.

 

EU는 1976년 염소가스와 다이옥신 누출사고로 3700여 명이 사망한 ‘이탈리아 세베소 사고’ 이후 ‘세베소 지침’을 만들어 토지이용규제와 함께 사업장의 유해 위험정보 제공 의무를 강화하고 화학물질의 분류 및 표시에 관한 국제기준을 도입했다.

 

이에 연구원은 ‘세베소 지침’ 등을 고려해 국내에도 유해화학물질 취급 수, 연간 취급량, 보관저장량 등을 반영한 ‘화학사고 위해도’를 기준으로 ‘위험지역’을 설정해 관리하자고 제안했다.

 

위험지역은 위해도가 높은 지점을 중심으로 반경 500m는 ‘위험지역’으로, 반경 3km는 ‘준위험지역’으로 구분했다.

 

그러면서 위험지역에서는 주민들이 대피한 이후 외부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독립적인 산소 공급장치 등을 비치한 실내대피 관리체계를 갖추자고 강조했다.

 

아울러 화학사고 안전을 위한 전략으로 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 입지 관리 전략 마련과 주변 지역 토지이용규제 법제화, 화학사고 노출 위험 저감을 위한 교육과 훈련 등을 제시했다.

 

김동영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화학사고 위험으로부터 사전 예방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완충구역 보완과 지역 화학사고 대응 계획의 수립이 중요하다”며 “민관이 함께하는 거버넌스를 구축해 지역단위에서 화학사고 취약성을 지속적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허수빈 기자 ]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