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상호 비대위(비상대책위원회)’가 8일 공식 출범한 가운데 더불어민주당은 6·1 지방선거 참패를 둘러싼 내홍 수습에 나선다.
4선 중진 우상호 의원이 이끄는 비대위는 이날 오후 당무위원회와 중앙위원회 추인을 거쳐 공식 활동에 돌입한다. 공석인 청년·여성 몫 비대위원 인선도 이르면 이날 완료될 전망이다.
이런 상황에서 두 달간 활동할 새 비대위의 성패가 ‘선거 패배 책임론’을 둘러싼 친문(친문재인)계와 친명(친이재명)계 간 극심한 갈등을 얼마나 빨리 봉합하느냐에 달렸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일각에서는 당 대표를 뽑는 전당대회가 올해 8월에 치러지는 만큼, 내분이 지속되면 당권 경쟁이 진흙탕 싸움으로 흐르며 당이 분열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또 새 비대위가 이른바 '혁신 비대위'를 표방했지만, 활동기간이 두 달 안팎인데다 내분 수습이 우선 과제라는 점에서 결국 관리형에 그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비대위원이기도 한 박홍근 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당의 혁신과 변화는 정기 전당대회를 통해 선출된 차기 지도부가 해 나가는 것이 맞다"며 비대위 역할의 핵심을 '관리'라고 설명했다.
다른 비대위원도 "두 달 만에 당 체질을 바꿀 혁신안을 만들기는 쉽지 않다"며 "8월에 들어설 새 지도부가 '쇄신 지도부'가 될 수 있도록 그 토대를 마련하는 데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친문계의 핵심인 홍영표 의원 역시 라디오 인터뷰에서 "새로운 혁신 비전을 만드는 것은 하루 이틀 사이에 되지 않는다“며 ”그것을 비대위에서 다 정리하는 것은 맞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다만 친명계에 속하는 안민석 의원은 라디오에서 "비대위 구성이 혁신적이지 않아 아쉽다. 국민이나 당원들 눈에 어떻게 비칠지 우려되는 측면이 있다"며 결을 달리했다.
책임론을 앞세워 이재명 상임고문의 전대 출마를 차단하려는 친문계와 강성 당원의 지지세를 업고 이 고문의 당권행을 노리는 친명계 간 갈등이 형성된 가운데 결국 전당대회 규칙에 관심이 쏠릴 전망이다.
이낙연계를 비롯한 범친문계는 기존 규칙을 유지하자는 입장이지만 친명계는 신규 당원에 대한 투표권 부여는 물론 권리당원의 투표 비중을 대폭 늘리자고 주장하고 있다.
강성 지지층이 대거 포진한 권리당원 비중이 확대되면 이 고문은 무난히 당 대표에 오르고 측근 인사들도 대거 최고위원단에 진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우 의원이 계파색이 약하고 합리적 성향의 중진이라는 점에서 비대위원장에 선임됐지만, 본인이 인적 쇄신의 대상인 86(80년대 학번·60년대생) 그룹의 대표 인사라는 점에서 리더십에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우상호 비대위'가 출범하는 이날에도 홍영표 의원이 "당에서 국회의원 보궐선거 출마를 원했다는 것은 이재명 고문의 거짓말"이라고 하자, 안민석 의원은 "이 고문에게 전대 출마를 하지 말라는 것은 비이성적 처사"라는 등 서로를 비판하며 갈등이 깊어지는 상황이다.
[ 경기신문 = 허수빈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