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1기 신도시 주민 83.8% “거주 아파트 재정비 필요”

경기연구원 조사…용적률 300% 이하, 21~30층 선호

 

경기도 1기 신도시 주민 83.8%가 재건축‧리모델링 등 거주 아파트 재정비에 동의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9일 경기연구원에 따르면 연구원은 지난 3~4월 도내 1기 신도시인 분당, 평촌, 산본, 일산, 중동 주민 500세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도는 1980년대 후반부터 1기 신도시 사업을 추진, 1993년까지 분당, 평촌, 산본, 일산, 중동 5곳의 신도시를 조성했다.

 

이들은 준공 30년이 지나면서 건축물 노후화 등을 겪고 있는데 새 정부가 ‘재건축‧리모델링 포함 1기 신도시 재탄생을 위한 종합 재정비 발전방안 마련’을 공약으로 제시해 주목받고 있다.

 

이에 이번 조사에서도 신도시 주민의 83.8%가 ‘거주 아파트의 재정비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도시별로는 중동 88.6%, 산본 86.7%, 일산 84.1%, 평촌 83.8%, 분당 80.4% 순이다.

 

재정비 사업 방식으로는 48.4%가 재건축을, 35.1%가 리모델링을 답해 16.5%가 답한 유지보수‧관리보다 높게 나왔다.

 

다만 재건축과 리모델링을 답한 비율이 일산은 각각 46.3%와 36.8%를 기록한 반면 산본은 각각 35.4%와 44.6%로 나오는 등 신도시별 사업 방식 선호도 분포는 차이가 있었다.

 

선호 이유(중복 응답)로는 재건축은 61.6%가 자유로운 평면‧단지설계, 51.7%가 구조적 안정성 확보를 말했고 리모델링은 72.1%가 사업 기간 단축, 71.4%가 비용 절감‧친환경적을 말했다.

 

적절한 사업 시행 시기로는 5년 이내가 62.8%로 가장 많았고, 5~10년 이내는 26.4%, 10년 초과는 10.8%였다.

 

사업비 부담 의향을 묻는 말에는 72.8%가 동의했고,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추가 부담금의 평균 액수는 1억2800만 원으로 나타났다.

 

재건축 시 용적률로는 300% 이하가 47.8%, 층수는 21~30층이 56.2%로 가장 많이 나왔다.

 

현 거주 상태 관련 조사에서는 신도시 주민의 19.4%만이 전반적인 세대 내 환경에 만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가장 큰 불만 요소로는 64.2%가 주차장을, 55%가 상하수도 부식을 지목했다.

 

신도시 주민의 단지 만족 역시 26% 머물렀는데, 주요 원인으로는 64.8%가 소음 및 진동을, 48.6%가 단열 및 방풍을, 45%가 누수 및 곰팡이라고 답했다.

 

이에 연구원은 1기 신도시 재정비 추진전략으로 장래 도시발전 트렌드를 반영한 신도시 재정비, 유휴 공간‧시설 재활용과 노후시설 재정비하는 성장 체계 구축을 주장했다.

 

이어 실외 공간과 연결성을 높이는 근무 환경 조성, 주택 면적 확대, 산업 입지 개편 준비, 공유 공간 확대, 다양한 녹지 공간 조성 등도 제시했다.

 

장윤배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국토부에서 기본계획 및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도는 지자체가 개발 계획에 맞는 단지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행정적‧재정적 지원방안을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허수빈 기자 ]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