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적 제140호인 오산시 소재 독산성에서 삼국시대 성벽이 발견됐다는 소식이다. 임진왜란 당시 권율 장군의 활약으로 인해 세마대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진 곳이다. 임진왜란 때인 1593년 7월 권율 장군이 근왕병(勤王兵) 2만 명과 함께 북상하다가 이 성에서 왜적을 물리쳤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왜장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와 대치하던 권율 장군이 물이 풍부한 것처럼 보이기 위해 흰 쌀을 말에 끼얹어 목욕시키는 시늉을 했고 이를 본 왜군은 산꼭대기에서 물이 풍부하다고 오판해 퇴각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성의 축성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었다. 기록에는 백제가 쌓았으며, 통일신라와 고려를 거쳐 임진왜란 때까지 계속 이용됐던 곳인데 정조 20년(1796) 수원화성의 축조와 함께 대규모 개축이 이뤄졌다고 한다. 영조 36년(1760) 온양온천 행차 후 환궁하던 사도세자가 성 안의 노인들을 모아 위로하고 창고의 곡식을 나눠줬으며. 훗날 정조 또한 14년(1790) 행차 때 노인들을 만나 애로사항을 묻고 쌀과 옷감을 하사했다. 하지만 이후 관리가 이뤄지지 않아 훼손 상태가 심각했다. 방치됐던 독산성은 197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복원 사업이 실시됐다. 제대로 된
경기북부지역에 있던 미군기지는 떠나고도 말썽이다. 10년 넘게 머뭇거렸던 개발사업이 별다른 성과없이 또 해를 넘기게 됐기 때문이다. 그나마 올해 초까지만 해도 남북평화바람과 북미화해흐름을 타고 노루꼬리만큼 희망이 보였지만 또 다시 제자리에서 연말을 맞게됐다. 미개발로 버림받은 도내 반환 대상 미군기지는 14곳이었다. 파주에는 캠프 에드워드·스탠턴·자이언트·게리오웬·하우즈 등 5곳, 의정부에는 캠프 카일·레드클라우드·잭슨·스탠리 등 4곳, 동두천에는 훈련장 짐볼스·캠프 호비·모빌·캐슬 일부 등 4곳, 하남에는 캠프 콜번 등이다. 이 가운데 파주에 있는 미군기지 5곳 가운데 캠프 에드워드와 캠프 스탠턴 등 2곳은 개발사업 우선협상대상자가 지정돼 그나마 다행이다. 나머지 캠프 자이언트와 게리오웬은 응모한 민간사업자가 없어 내년으로 넘어가게 됐고 캠프 하우스는 사업 취소에 따른 행정소송이 진행 중이기 때문에 개발할 수 없다. 다른 지자체에 비하면 그래도 나은 편이다. 의정부와 하남의 형편은 더 답답하다. 의정부의 캠프 카일 부지는 법원과 검찰을 유치하기 위해 환경오염 정화작업을 마쳤지만 계획이 무산돼 ‘닭 쫓던 개 신세’가 됐다. 캠프 잭슨과 캠프 레드클라우드는 반
연일 최저 기온에 두꺼운 외투를 꺼내 입기 시작하면서 전열기, 보일러 등 난방기구 취급과 불 사용이 많아지고 있다. 최근 3년간 경기지역 주택화재 발생건수는 6천651건이며, 그 중 전열기구로 인한 화재는 26.4%에 달하는 1천757건이다. 추워진 날씨 탓에 실내활동이 많아지고, 실내 난방기구의 사용 증가로 화재·화상 등 주택화재가 자주 발생한다. 안전하고 따뜻한 겨울을 보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첫째, 대표적인 난방기구 전기장판은 내부 전선 합선, 과열 등으로 화재가 발생한다. 낡거나 접어둬서 전선이 끊어졌을 수 있는 전기장판은 사용하지 않고 폐기하는 것이 좋다. 둘째, 문어발식 콘센트로 인한 전기화재도 겨울철 화재의 대표적이다. 난방 제품을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을 때는 노후전선 안전진단 후 교체해야 하며, 보관할 때는 전선이 꼬이지 않도록 보관해야 한다. 셋째, 화목보일러로 인한 화재도 겨울철 화재 주범이다. 연통이 가열된 후 감싸고 있던 보온재가 발화돼 화재로 연결되거나 불똥이 주변 가연물에 쉽게 옮겨 붙을 수 있어 가연물과 이격거리를 두고 소화기를 비치해야 한다. 주택용 소방시설 설치도 주택화재의 가장 큰 예방법이다. 소화기와
불조심은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함이 없지만, 특히 겨울에는 가정과 사무실, 기업체 등에서 난방용품으로 인한 화재가 빈발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2016~2018년 3년간 경기지역에서 겨울철 난방용품에 의해 발생한 화재 1천97건 중 전기히터·장판 429건, 전기열선 440건, 화목보일러 228건이다. 전기 히터 화재는 전기 과부하로 발생하거나 난방기와 가연물이 근접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전력소모가 많은 전열기기는 용량에 맞는 전선을 사용하고 문어발식 전기사용은 금지하며 다 쓴 플러그를 뽑아 놓아야 한다. 특히 가연물은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배치하도록 한다. 전기장판은 사용하기 전에 콘센트 부분 등에 낀 먼지를 제거하고 장판 앞뒷면에 파손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라텍스 재질 이불과 매트리스는 흡수된 열을 축적하기 쉬워 전기장판과 함께 사용하지 말아야 화재를 예방할 수 있다. 화목보일러는 불티가 비산하거나 복사열로 인해 주변 가연물에 붙는 경우가 많은데 주로 농가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불을 핀 뒤 잠자리에 드는 경우가 많아 화재 발견이 지연될 수 있다. 설치된 보일러 주변 2m 이내에 가연물을 두지 말아야 한다. 또 건축물 접촉면에 단열판을
경기도는 내년부터 도내 모든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라돈 농도 실태를 조사한다고 1일 밝혔다. 라돈은 무색무취로 세계보건기구(WHO)가 1급 발암물질로 규정한 방사성 물질이다. 현행 실내공기질 관리법 상 시공자가 실내공기질을 측정토록 하고 있으나 지난해 1월 1일 이전 사업계획승인을 받은 공동주택이나 현재 공사가 진행중인 공동주택은 대상에서 제외돼 있다. 도내에 측정대상에서 제외된 지난해 1월 1일 이전 사업계획승인을 받은 공동주택은 6천525개 단지 287만 가구, 현재 공사가 진행중인 공동주택은 124개 단지 13만 가구다. 도는 도가 운영하는 공동주택 품질검수단과 도 보건환경연구원을 활용해 라돈 측정, 라돈 발생 건축 내장재 사용 여부 확인 등을 통해 실내 공기 질 개선에 나설 계획이다. 또 관련법에서 규정한 신축 공동주택에 대한 실내 공기 질 측정의 주체를 ‘시공자’에서 ‘환경부 등록업체’로 변경하도록 다음 달 중에 환경부에 제도 개선을 건의하기로 했다. 김준태 도 도시주택실장은 “도민의 건강과 안전은 그 무엇과도 바꿀수 없는 도정의 최우선 가치”라며 “가용 가능한 행정력을 모두 동원, 도민의 안전 확보와 불안심리 최소화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 命 노해리 정치부 기자 <수습기자> ▲ 편지수 <이상 12월 1일字>
합법적 의사진행 방해를 일컫는 필리버스터는 16세기의 해적선이나 약탈자를 의미하는 네덜란드어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당초 함선을 공격하는 사람들을 가리키는 말이었지만 1854년 미국 상원에서 일부 의원들이 의사진행을 방해하면서 정치용어화 됐다. 그 후 의회에서 소수파 의원들이 다수파의 독주를 막거나 기타 필요에 따라 법의 테두리 내에서 의사진행을 방해하는 행위를 일컫는 말로 정착됐다. 의회의 토론을 활성화하고 다수당의 날치기 법안 통과를 막을 수 있는 합법적 장치라는 점에서 민주주의의 꽃으로 불리기도 한다. 그러나 ‘정치는 살아있는 생물’이라는 말처럼 잘만 쓰인다면 다수당의 횡포를 막지만, 남발 하면 민주주의의 기본 원칙인 다수결을 무력화하는 도구로 작용 하기도 한다. 따라서 각국의 의회 역사속엔 필리버스터가 오점으로 남아있는 사례도 적지 않다. 미국 상원에서는 일찍이 이를 간파, 소수의 의견을 존중하되 규정을 아주 까다롭게 하고 있다. 주제와 관련 없이 이야기를 하거나 책을 읽어도 되지만 일단 말이 끊기면 안 된다. 화장실에 가기 위해 자리를 떠도 안 되며 어기면 발언 자격이 박탈된다. 일찍이 이 제도를 도입했던 우리나라는 1973년 폐지됐다가 2012년 1
연자간 /백석 달빛도 거지도 도적개도 모다 즐겁다 풍구재도 얼럭소도 쇠드랑볕도 모다 즐겁다 도적팽이 새끼락이 나고 살진 쪽제비 트는 기지개 길고 홰냥닭은 알을 낳고 소리치고 강아지는 겨를 먹고 오줌 싸고 개들은 게모이고 쌈지거리하고 놓여난 도야지 둥구재벼 오고 송아지 잘도 놀고 까치 보해 짖고 신영길 말이 울고 가고 장돌림 당나귀도 울고 가고 대들보 위에 베틀도 채일도 토리개도 모도들 편안하니 구석구석 후치도 보십도 소시랑도 모도들 편안하니 놀이의 한마당처럼 즐겁다. 생생한 토속어로 근원적인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시인의 마음이 잘 담긴 시를 만나는 즐거움으로 가슴이 뛴다. 평화로운 시골마을에 고즈넉한 풍경의 농촌에는 누가 살고 있는 것일까 가족처럼 이웃들이 경호원이었고, 삶의 가치와 희망이 있었다. 작금의 세태를 비교해 보면 옛날 할머니 할아버지의 살 냄새가 그리워진다. 연자간이라는 이 시는 고즈넉한 정서를 잘 보여주고 있지만 실상은 풍경의 외로움들이 베여있다. 연자간은 연자맷돌, 말이나 소로 끌어 돌려서 곡식을 찧는 맷돌을 놓은 방앗간이다. 필자역시 해남 고향마을에서 어머님께서 두부공장을 하셨다. 맷돌에 콩을 갈고 이러한 공정과정을 거쳐 더운물에 잘삶은 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