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에 살고 있는 북한이탈주민은 2927명, 전국에서 세 번째로 많지만 이들의 자립을 도울 정책은 미미하다. 21일 인천시와 통일부 등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전국의 탈북민 수는 3만 1362명, 경기도(1만 1042명), 서울시(6473명)에 이어 인천이 세 번째다. 문제는 탈북민 다수가 기초생활수급자인 점이다. 실제 인천 거주 탈북민 2927명 중 기초수급대상자는 1101명으로 37.62%를 차지했다. 탈북민 3명 중 1명이다. 탈북민은 북한이탈주민법 제26조에 따라 최초 거주지 전입일 이후 5년간 수급권자 범위 관련으로 특혜를 적용받는다. 이들은 의료급여, 생계급여 등을 지원 받는다. 북한이탈주민법 제25조와 의료급여법 제3조제7호에 근거해 북한이탈주민법의 적용을 받고 있는 사람과 그 가족으로서 보건복지부장관이 의료급여가 필요하다고 인정한 사람은 의료급여를 지원받을 수 있다. 근로능력 유무에 따라서 1종 혹은 2종 수급권자가 된다. 거주지보호기간 5년 이내의 중위소득 50% 이하 탈북민은 의료급여 수급자가 되지만 일반 시민의 경우 중위소득 40% 이하부터 의료급여를 받을 수 있어 탈북민의 수급 기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기초수급대
인천지역의 장애인 미신고시설 불법행위를 근절하기 위해 장애인 미신고시설 관리 방안이 마련됐다. 인천시는 지난 8월 부평구 장애인 미신고시설에서 발생한 장애인 학대 발생 사건과 관련해 장애인 미신고시설 전수조사를 진행한다고 21일 밝혔다. 전수조사는 올 12월까지로 미신고시설 의심 가구와 적발된 적 있는 지역 내 장애인 미신고시설 등을 점검할 예정이다. 앞서 시는 지난 10월부터 동일 주소지 내 동일 보장가구원이 아닌 2가구 이상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장애인 생활안정(장애인 연금, 장애수당 등) 수급 가구를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진행 중이다. 보건복지부는 기초수급 대상으로 동일 주소지 내 5인 이상 가구를 전수조사하고 있지만, 시는 좀 더 촘촘한 조사를 위해 전수조사 대상 기준을 대폭 강화했다. 시는 전수조사 시 시와 군·구, 장애인권익옹호기관 등 민·관 합동 실태조사단을 구성해 의심되는 시설 현장 확인 및 장애인 학대 등 장애인 미신고시설 실태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또 장애인 미신고시설의 학대 예방과 신속한 보호를 위한 긴급대응 체계도 구축한다. 미신고시설 학대 적발 등 긴급보호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발 빠른 응급조치를 위해 임시거처를 제공하고, 학대 조사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