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위조지폐가 267장 발견됐다. 이 가운데 옛 5천원권 비중이 40%로 가장 많았다. 옛 5천원권을 대량 위조한 위폐범이 2013년 붙잡혔지만, 그가 남긴 지폐 중 일부가 여전히 남아있던 탓이다. 한국은행이 30일 발표한 ‘2019년 중 위조지폐 발견 현황’을 보면 지난해 한은이 발견했거나 금융기관·개인이 한은에 신고한 위조지폐는 모두 267장이었다. 이는 전년보다 347장 줄어든 것으로 통계 집계가 시작된 1998년 이후 가장 적다. 위조지폐 중 옛 5천원권은 107장으로 전체의 40.1%를 차지했다. 구권과 신권을 합한 5천원짜리 위조지폐는 115장(43.1%)이다. 1만원권 위조지폐는 182장 감소한 95장으로 전체의 35.6%였다. 5만원권은 2장 줄어든 그친 47장으로 17.6%를 차지했다. 1천원권은 7장 감소한 10장(3.7%)이었다. 옛 5천원권이 가장 많은 이유는 지폐 고유번호에 ‘77246’을 넣은 옛 5천원권을 대량으로 위조한 이가 2013년에 붙잡혔지만, 그가 유통한 물량 중 일부가 여전히 남아있기 때문이다. 다만 ‘77246’이 찍힌 옛 위조지폐는 2017년 317장, 2018년 259장, 지난해 107장 발견되는 데 그치며 시중
삼성전자는 최초로 5G 이동통신을 지원하는 태블릿 ‘갤럭시 탭 S6 5G’를 30일 국내 출시한다고 29일 밝혔다. 갤럭시 탭 S6 5G는 마운틴 그레이 색상에 128GB로 출시된다. 가격은 99만9천900원으로 이동통신 3사 매장에서 구매할 수 있다. 갤럭시 탭 S6 5G는 16:10 화면비의 10.5형 ‘슈퍼 아몰레드(sAMOLED)’ 디스플레이와 글로벌 오디오 전문 브랜드 AKG의 음향 기술, ‘돌비 애트모스’가 적용된 4개의 스피커가 탑재됐다. 갤럭시 탭S6 5G는 5.7㎜·무게 420g이고 갤럭시노트10과 마찬가지로 제스처를 인식하는 S펜이 탑재됐다. S펜을 태블릿 뒷면에 부착해 휴대하거나 충전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3월 31일까지 갤럭시 탭 S6 5G 구매하면 삼성 32형 커브드 모니터(30만원 상당) 6만 9천원 구매 혜택과 갤럭시 버즈(15만9천500원 상당) 6만9천500원 구매 혜택, 화이트 스톤 호두 글라스·LAMY 사파리 S펜·삼성 무선충전 배터리팩 세트(13만3천원 상당) 7천원 구매 혜택 중 한 가지를 제공한다. 삼성 정품 키보드
우한 폐렴(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 우려가 커지면서 이번 설 휴 기간 마스크와 손 소독제 등 개인 위생용품 판매가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편의점 CU는 국내에서 우한 폐렴 확진자가 발생한 20일부터 27일까지 마스크 매출을 분석한 결과, 전월 같은 기간 대비 10배 넘게 급증했다고 28일 밝혔다. 마스크의 경우, 미세먼지 영향 등으로 겨울철에 평소보다 5∼8배가량 판매가 증가하지만, 연휴 기간 우한 폐렴 우려가 겹치면서 증가 폭이 더 늘어났다고 CU는 분석했다. 가글 용품은 162.2%, 손 세정제는 121.8% 매출이 늘었다. 또 연휴 기간(24∼27일)에는 감기약(250.2%)과 해열제(181.8%) 등 안전상비약 매출도 껑충 뛰었다. GS25에서도 연휴 기간 마스크 매출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는 413%, 직전 주 같은 요일(17∼20일)보다는 350% 늘었다. 손 소독제 매출도 각각 429%와 343% 증가했다. 세븐일레븐에서도 연휴 기간 마스크 매출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6.2배, 손 소독제는 4.5배 늘었다. 전주 같은 요일(17∼20일)과 비교해서는 마스크 매출은 340%, 손 소독제 매출은 222.4% 늘었다. 온라인 쇼핑
지난해 국내 주요 5대 은행의 전세자금대출 잔액이 80조원을 돌파했으나 증가세는 전년에 비해 둔화했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KEB하나·NH농협은행의 전세자금대출 잔액이 지난해 12월 말 기준 80조4천581억원으로, 전달보다 1.8%(1조4천169억원) 증가하며 80조원대에 올라섰다. 5대 은행의 전세자금대출은 지난해 27.3%(17조2천553억원) 늘었다. 이는 전년도 증가율인 41.9%(18조6천493억원)에는 크게 못 미친 수준이다. 분기별로 보면 1분기 6.8%로 증가율이 가장 높았고 2분기 6.2%, 3분기 6.3%로 둔화했다가 4분기에 5.6%까지 떨어졌다. 통상 연말 연초 이사와 같은 계절적 수요가 있어 전세자금대출이 늘어나지만 일부 은행이 가계대출 총량 규제를 의식해 대출 영업을 자제해 4분기 증가세가 둔화했다. 지난해 전세자금대출 증가세가 전년보다 약화한 것은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규제에 전셋값이 약세를 보인 데다가 전세자금대출을 억제하는 정책도 시행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의 전셋값은 지난해 1.78% 하락해 전년(-2.87%)보다 하락세가 완화됐으나 서울 지역은 0.69% 떨어져 전년(-
지난해 우리나라는 중국이 아닌 대(對)홍콩 무역에서 가장 큰 이익을 봤다. 대일본 무역적자는 무역상대국들 가운데 여전히 가장 많았지만, 일본의 대한국 수출 제한과 일본 제품 불매 운동 등으로 적자 규모는 16년만에 가장 적었다. 관세청이 28일 공개한 ‘2019년도 수출입 품목·국가별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대홍콩 무역흑자는 301억3천900만달러로 무역상대국들 중 1위였다. 2009년 이후 2018년까지 10년간 1위 자리를 지킨 중국(흑자액 289억9천400만달러)은 2위로 내려앉았다. 이어 베트남(271억600만달러)이 3위를 차지했다. 폴란드(45억5천100만달러·9위)는 10대 무역흑자국 목록에 새로 이름을 올렸다. 우리나라가 교역을 통해 적자를 가장 많이 본 나라는 여전히 일본(적자액 191억6천300만달러)이었다. 하지만 대일본 적자액은 2003년(190억3천700만달러) 이후 16년 만에 가장 적었다. 사우디아라비아(181억1천300만달러)와 호주(127억1천600만달러)가 우리나라에 두 번째, 세 번째로 많은 무역적자를 안겼다. 수출만 보면, 한국의 5대 수출 상대국은 중국(1천362억1천300만달러·비중 25.1%)·미국(733억4천800만
중소기업 10곳 중 5곳은 올해 수출 증가가 기대되는 지역으로 베트남, 태국, 필리핀 등 신남방 국가를 꼽았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전국 수출 중소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2020년 중소기업 수출 전망 및 정책과제 조사’ 결과를 28일 발표해 응답 기업 중 49.3%가 수출 증가 예상 지역으로 신남방 국가를 꼽았다고 밝혔다. 중국에서의 수출 증가가 기대된다는 응답이 29.3%로 뒤를 이었고, 유럽(25.3%), 신북방 국가(16.0%), 북미(12.3%)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신남방 국가는 아세안과 인도를 포함한 11개국, 신북방 국가는 러시아와 카자흐스탄 등 유라시아 대륙 북부 및 중부 14개국이다. 시장 다변화를 위한 신규 진출 희망 시장으로도 신남방 국가를 고른 기업이 35.7%로 가장 많았고, 유럽(23.0%), 북미(18.7%), 신북방 국가(15.7%) 등이 뒤를 이었다. 한편 올해 수출에 영향을 끼칠 대외 위험요인으로는 전 세계 경기 악화 및 주요 교역국의 내수 침체(64.7%), 미·중 무역 분쟁(14.3%), 미·이란 분쟁으로 인한 중동 리스크(10.7%) 등의 답변이 선택됐다. 대외 위험요인에 대한 대응책으로는 응답 기업의 41.0%가 신
우한 폐렴(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우려로 주요 여행사의 이번 주 중국 여행 예약이 100% 취소되는 등 여파가 확산하고 있다. 특히 ‘춘제’(春節·중국 설) 연휴를 맞아 중국인들이 한국에 대거 입국하면서 중국인들이 자주 찾는 지역 호텔들도 잇단 취소에 울상을 짓고 있다. 28일 여행업계에 따르면 하나투어와 모두투어, 노랑풍선 등 국내 주요 여행사들은 이번 주 출발하는 중국 여행 예약을 100% 일괄 취소하고, 수수료 없이 환불 조치하기로 했다. 여행사별로 최대 3천명의 예약을 회사 차원에서 손실을 감수하고 취소한 셈이다. 이들 업체는 우한 폐렴 확산이 최고조에 오를 것으로 예상되는 다음 달 예약도 전액 환불 조치하기로 결정했다. 모두투어의 경우 설 연휴 여행을 예약했다 취소한 고객들에게도 소급 적용해 납부했던 수수료를 전액 변제해주기로 했다. 아울러 다음달 중국 신규 모객도 전면 중단할 방침이다. 모두투어 관계자는 “내부 논의 끝에 고객 안전이 제일 중요하다고 판단해 기존 취소 고객에 대해서도 전액 환불해 주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우한 폐렴 여파로 동남아 등 다른 국가 여행을 취소하는 경우도
하남지역 땅값이 지난해 전국에서 가장 많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하남시와 함께 3기 신도시로 지정된 과천시 땅값 상승세도 전국에서 3위를 차지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연간 전국 지가가 3.92% 올라 전년(4.58%)보다 소폭 하락했다고 27일 밝혔다. 경기지역(4.29%)과 인천지역(4.03%) 상승 폭은 서울(5.29%), 광주(4.77%), 대구(4.55%), 대전(4.25%)과 함께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지난해 땅값은 3기 신도시 같은 대형 개발 호재가 이끌었다. 전국에서 땅값 상승 폭이 가장 큰 곳은 하남시(6.9%)다. 2018년 12월 3기 신도시로 지정된 데다 감일지구 등 택지개발이 진행 중이며, 서울지하철 3·5호선 연장선 개발 기대감이 크다. 전국에서 땅값이 세번째로 많이 오른 곳은 과천시(6.32%)는 3기 신도시 지정, 지식정보타운, 재건축 등 굵직한 개발 계획이 많다. 네번째는 성남 수정구(6.03%)이며, 이어 용인시 처인구(6.2%)는 SK하이닉스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계획 발표 이후 땅값이 뛰었다. 서울~세종간 고속도로 개발 기대감도 크다. /이주철기자 jc38@
설 명절을 앞두고 시중에 풀린 5만원권 지폐 잔액이 105조원 넘게 불어났다. 2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5만원권 지폐의 발행 잔액은 역대 최대인 105조3천944억원으로 한 달 전보다 2조457억원 늘었다. 화폐 발행 잔액이란 한은이 시중에 공급한 화폐에서 한은 금고로 다시 돌아온 돈을 뺀 것으로, 시중에 남아 유통되는 금액을 말한다. 지폐 수요가 늘어나면 한은으로 되돌아가는 돈은 줄어 발행잔액이 커지게 된다.만원권을 여러 장 갖고 다녀야 하는 불편을 없애고, 수표 발행 부담을 줄이기 위해 2009년 6월 유통되기 시작한 5만원권은 10여년 만인 지난 8월 발행잔액 100조원을 돌파했다. 이후 지난해 9월부터 11월까지 잔액이 102조∼103조원에서 머무르다 12월 들어 105조원대로 뛰었다. 세뱃돈이나 용돈을 줄 때 5만원짜리 지폐가 많이 쓰이는 만큼 설 연휴를 앞두고 5만원권 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5만원권 발행 잔액은 설, 추석 명절을 한 달여 앞두고 급증하곤 한다. 용돈을 주거나 축의·부의를 할 때 5만원권을 선호하는 현상이 나타나며 전체 지폐에서 5만원권이 차지하는 비중도 늘었다. 잔액 기준으로 보면 시중에 유통되
공공기관이 공적 재원으로 집주인 대신 세입자에게 돌려준 전세보증금이 지난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27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전세금반환보증보험 대위변제 금액은 2016년 26억원, 2017년 34억원, 2018년 583억원, 작년 2천836억원으로 급증했다. 지난해 전년 대비 4.86배로 뛰면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세입자에게 전세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하는 집주인, 보증금을 제때 돌려받지 못하는 세입자가 그만큼 늘고 있다는 뜻이다. 전세금반환보증보험은 집주인이 계약 기간 만료 후에도 전세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하면 HUG가 가입자(세입자)에게 대신 보증금을 지급(대위변제)해주고, 나중에 구상권을 행사해 집주인에게 청구하는 제도다. 전세보증금 반환보증제도는 2013년 처음 시작됐으며 현재 공공 보증기관인 HUG와 민간 보증기관인 SGI서울보증에서 관련 상품을 취급하고 있다. 아울러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가입과 사고 건수(금액)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HUG의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가입 실적은 15만6천95건(30조6천444억원), 사고는 1천630건(3천442억원)으로 폭증했다. 집값이 전세보증금보다 더 떨어지는 ‘깡통 전세’와 이에 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