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21일부터 시작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을 앞두고 카드사들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편의성 등을 고려해 대다수의 이용자들이 지급 방식으로 신용·체크카드를 고를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사용에 불편이 없도록 만전을 기울이고 있다. 카드업계는 이번 소비쿠폰이 중소형가맹점에서만 사용 가능해 수수료 이익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어 앞서 재난지원금 지급 때만큼 공격적인 마케팅은 어려울 전망이다.
금융권에 따르면 카드사들은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을 앞두고 전산시스템 작업을 진행 중이다. 앞서 2020년과 2021년 대규모 지원금 지급 당시 신청자들이 몰리면서 오류가 발생했던 만큼, 안정적인 시스템 마련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정부는 12조 1709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전 국민에게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할 예정이다. 오는 21일 오전 9시부터 신청할 수 있으며 신용·체크카드, 선불카드, 지역사랑상품권 중 원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2020년 긴급재난지원금 중 70% 가량이 체크·신용카드로 지급됐던 만큼 이번에도 10조 원 이상의 결제액이 발생할 수 있다는 예측이 나온다.
소비 부진으로 결제시장이 위축돼 어려움을 겪어왔던 카드사 입장에서 대규모 결제는 반가워할 만한 일이지만, 카드업계의 분위기는 잠잠하다. 5년 전 재난지원금 지급 당시 금융당국이 자제할 정도로 공격적인 마케팅에 나섰던 것과는 대비되는 모습이다.
금융권은 이번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사용처가 연매출 30억 원 이하의 중소형 가맹점으로 제한돼 카드업계가 수익을 내긴 어려울 것이라고 보고 있다. 이들 가맹점에 적용되는 수수료율이 대폭 낮아지면서(10억 원 이하 0.4% 10억~30억 원 이하 1.45%) 마케팅 비용이 늘어날 경우 역마진이 날 수도 있다는 설명이다.
한 카드업계 관계자는 "소비쿠폰을 사용할 수 있는 가맹점 대부분이 영세·중소 가맹점인데 이곳들에는 평균 1%대의 우대 수수료가 적용된다"며 "이를 모두 수익으로 전환한다고 해도 비용을 제외하면 남는 것이 없다"고 했다.
게다가 추가경정예산 편성 등으로 대규모 채권 발행이 이뤄지면서 카드사들의 자금조달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통상적으로 기준금리가 내려가면 여신전문채권(이하 여전채) 등 시장금리도 함께 하락하지만, 국채 금리가 오르면서 여전채 금리도 상승하고 있다. 실제로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따르면 AA+등급 3년 만기 여전채 평균 금리는 연 2.905%로 한 달 전(2.725%)보다 0.18%포인트(p) 높다.
다른 카드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말부터 기준금리 인하에 따라 조달 환경이 다소 개선됐다지만, 여전히 3%대에 육박하고 최근 다시 오름세를 보이고 있어 조달 부담이 큰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 경기신문 = 고현솔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