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이 교직원 온라인 업무지원시스템인 ‘e-DASAN현장지원’의 새 얼굴을 만든다. 25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26일부터 다음달 21일까지 온라인 업무지원시스템 ‘e-DASAN현장지원’의 새로운 상징(CI)을 공모한다. ‘e-DASAN현장지원’은 도내 교직원에게 교무학사, 행정, 일반 업무관…
“’3·3·3 생각나눔 독서행사”에 학생들의 반응이 뜨거웠습니다. 이번 행사를 계기로 학교에 활기찬 도서관 문화와 책 읽는 분위기를 조성하겠습니다.” ‘세계 책의 날’을 이틀 앞둔 21일 수원 영화초등학교에서는 정겨운 그림으로 국내에서도 유명한 원화 작가 하야시 아키코의 전시회가 열렸다. 학생…
Q. 공간혁신 사업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자연환경은 아름다운 학교지만, 개교한 지 오래되다 보니 낙후되고 정형화되어 있어 교육공동체의 다양한 활동을 끌어내기에는 불편하고 부족한 면이 많았다. 공간이 사람을 만든다는 말처럼 우리 학생들이 좀 더 쾌적한 공간에서 공부하고 더 성장했으면 하는 바람으…
지난 14일 오전 10시 30분에 찾은 수일여자중학교(수일여중). 높은 언덕 너머에서 지저귀는 새소리가 아스라이 들려왔다. 궁금한 마음에 발걸음을 재촉해 학교 앞에 다다르니 우거진 숲이 학교를 감싸 안고 있었다. 이례적이었다. 비단 농어촌 학교가 아니면 이런 풍경을 자아내는 도심 학교는 드물기 때문이…
Q.공간혁신 사업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그 동안의 학교공간은 획일적이고 폐쇄된 공간이었다면 향후 학교 공간은 사용자인 학생, 교사, 학부모,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해 창의적인 공간으로써 앎과 삶과 쉼이 공존하는 학교 환경을 조성하겠다. 이를 통해 학교 교육과 지역주민들이 함께 공유하는 마을학교…
'학교공간혁신 사업'은 사용자 의견을 반영하지 않고 설계된 일률적인 학교 리모델링 공사를 지양하고, 공간 재조성 과정에 교사·학생·지역주민이 동참해 기존의 학교 모습에서 탈피한 도심형 미래학교를 조성하는 실험적 형태의 시범사업이다. 학교 공간을 학생 스스로 기획하고 바꿔가는 경험을 통해 주…
경기도교육청 경기미래학교 공간혁신이란 경기미래교육의 가치와 비전을 바탕으로 미래형 학습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학생, 학부모 등 학교공간 사용자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학습공간 구축 사업이다. 2019년 도입, 지난해부터 본격 추진 중으로 설계에 직접 참여하는 학생, 학부모, 지역사회의 반응이 매…
학교 공간은 그 자체로 중요한 교육과정이자 하나의 교과서, 또 텍스트다. 학생들은 학교공간을 경험하는 과정으로 공통 생활방식, 공간이 내포하는 학교 문화를 두루 익힌다. 더불어 모든 학교는 삶의 현장이다. 배움을 포함한 여러 가지 사건들과 다양한 인간관계가 어우러지는 또 하나의 사회와 같다. ■ 미…
연천교육지원청이 주택·차량 소방시설 구비 필요성을 알리는 ‘119 릴레이 챌린지’에 동참했다고 19일 밝혔다. 전옥주 교육장은 지난 15일 집무실에서 ‘하나(1)의 집·차량마다, 하나(1)의 소화기·감지기를, 구(9)비합시다’라고 적힌 ‘119 릴레이 챌린지’ 푯말을 들고 있는 사진을 공개했다. 119…
경기도교육청이 다음달 4일까지 ‘2021년 찾아가는 석면 이해 교육’을 진행한다고 19일 밝혔다. 석면 이해 교육은 학교에서 석면을 해체하거나 제거하는 작업을 할 때, 석면에 대한 교직원, 학생, 학부모들의 이해를 돕고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2019년부터 진행해 왔다. 교육 대상은 2021년 석면 해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