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시나위오케스트라(예술감독 원일)가 오는 13일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역(易)의 음향’ 공연을 진행한다. 2021년 ‘이것이 국악관현악이다’라는 메시지를 내세워 진정한 한국 음향의 오케스트라를 선보였던 ‘역의 음향’ 공연은, 올해 ‘관현악적 시나위’를 최초로 선보인다. 연주자가 곧 창작자였던 우리의 전통을 오케스트라에 대입한 것이다. 경기시나위오케스트라 단원들이 단순히 악보를 보며 연주하는 방법에서 벗어나, 음악의 주체가 돼 악단의 정체성을 가장 분명하게 제시하는 공연으로, 전 단원이 참여해 공동 창작한 음악들로 무대를 채운다. 공연은 총 4개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첫 번째 무대인 ‘27개의 파랑’은 국제박영희작곡상 대상 수상 이력의 이예진 작곡가와 프랑스에서 즉흥음악을 공부한 대금연주자 송지윤의 주도로 27인의 연주자가 함께하는 공연이다. 두 번째 무대는 경기시나위오케스트라의 예술감독인 원일과 미국 뉴잉글랜드 음악원 즉흥음악 교수인 가야금 연주자 김도연이 리더로 참여하는 ‘시나위브리콜라주’이다. 세 번째 무대 ‘호호훗’은 경기시나위오케스트라의 부지휘자인 장태평과 한국대중음악상 최우수 재즈크로스오버 음반상을 수상한 즉흥음악 연주자이자 첼리스트인 지박
세종국악관현악단(대표 김혜성)은 내달 4일 군포문화예술회관 수리홀에서 ‘2023 정월대보름 달달한 콘서트’를 진행한다. 이번 공연은 군포문화재단의 출범 10주년을 기념해 세종국악관현악단 창단, 초대 단장 겸 상임지휘자인 박호성이 지휘봉을 잡는다. 박호성은 국립민속국악원 원장, 서울시국악관현악단 단장 겸 상임지휘자,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 예술감독 겸 수석지휘자 등을 역임하며 깊이 있는 해석력과 역동적 지휘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첫 무대는 사물놀이 창시자인 김덕수 명인과 사물놀이패가 초연한 사물놀이 협주곡 ‘신모듬’으로 흥을 돋운다. 김덕수 명인이 무대에 올라 강렬한 타악기의 리듬으로 관객들에게 새해 힘찬 기운을 선사한다. 이어 국가무형문화재 57호 경기민요 김혜란 명창이 초연한 소리 협주곡 ‘우리 비나리’를 제자들과 함께 협연한다. 살과 액을 풀고 복을 빌어 새해의 희망과 염원을 담아본다. 해금 명인 김성아의 ‘방아타령 주제에 의한 해금 협주곡’, 소리꾼 유태평양의 ‘장타령’과 ‘아름다운 강산’을 감상한 뒤 인간의 희로애락을 담은 창작국악관현악 ‘휘천’으로 공연의 대미를 장식한다. 공연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세종국악관현악단 사무국 전화 또는 누리집에서 확인
전통 국악관현악이 다양한 악기, 그리고 인기가수 김경호의 락(Rock)과 만나 화려하고 다채로운 사운드를 선사할 색다른 공연이 관객을 기다리고 있다. 수원문화재단(대표이사 박래헌)이 오는 19일 오후 5시 수원SK아트리움 대공연장에서 선보일 2020 아트리움 크로스오버 콘서트 '세종국악관현악단과 김경호의 화락(和樂)'이 그것이다. 공연은 창작국악관현악 '아침을 두드리는 소리'로 시작해 국악심포니와 전자바이올린의 협주곡, 사물놀이 협주곡, 판소리, 대금 연주 등 국악기와 양악기의 현란한 테크닉이 어우러진 다양한 장르의 협연으로 꾸며진다. 특히, 창단 29년의 세종국악관현악단과 락커 김경호가 들려줄 국악관현악과 락의 콜라보레이션 무대가 이날 피날레 무대로 준비돼 관심이 집중된다. 창작 국악관현악의 화려한 색채에 여러 악기와의 협연, 인기 가수와의 콜라보 등 대중적인 요소가 가미된 이번 공연은 국악이라는 장르를 보다 새롭고 진하게 느낄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로 인한 생활 속 거리두기 지침에 따라 수용인원 30%로 입장을 제한하며, 지그재그 띄어앉기로 좌석을 운영한다. 관람객은 공연장 입장 전 마스크 착용 여부 확인, 발열 체크 및 전자명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