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장애인 선수단이 제17회 파리 하계 패럴림픽에서 세번째 금메달을 수확했다. 한국은 3일 프랑스 파리 사우스 아레나에서 열린 파리 패럴림픽 보치아 남자 개인전(스포츠등급 BC3) 결승전에서 정호원(강원특별자치도장애인체육회)이 대니얼 미셸(호주)를 4엔드 합산 점수 5-2(3-0 1-0 0-2 1-0)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한국이 이번 대회에서 금메달을 딴 건 장애인 사격 조정두(P1 남자 10m 공기권총 스포츠등급 SH1), 박진호(R1 남자 10m 공기소총 입사 스포츠등급 SH1)에 이어 세 번째다. 정호원의 우승으로 한국 보치아는 패럴림픽 10회 연속 금메달 획득이라는 금자탑을 쌓았다. 뇌성마비 장애인을 위해 고안된 보치아는 1984 뉴욕-스토크맨더빌 패럴림픽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됐고, 한국은 1988 서울 대회부터 이번 대회까지 10회 연속 금메달 획득 기록을 세웠다. 한국은 이날 정호원의 금메달 외에도 은메달 2개와 동메달 2개를 더 획득했다. 금 3개, 은 7개, 동메달 8개 등 총 18개 메달을 획득한 한국은 14위를 달리고 있다. 보치아 남자 개인(스포츠등급 BC1)에 출전한 정성준(경기도장애인보치아연맹)은 값진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경기도가 사전경기로 진행된 제103회 전국체육대회 유도 종목 첫 날 무더기 금메달을 수확했다. 경기도는 21일 울산광역시 문수체육관에서 사전경기로 열린 유도 남녀대학부에서 금 8개, 은메달 1개를 획득했다. 경기도 유도는 코로나19가 확산되기 전인 지난 2019년 서울특별시에서 개최된 제100회 전국체육대회에서 21년 연속 종목우승을 차지하는 등 경기도의 전통적인 효자종목이다. 이날 열린 남자대학부 개인전 66㎏급 결승에서는 안재홍(용인대)이 대구 대표로 출전한 같은 학교 김동현에게 누르기 한판승을 거두고 정상에 올랐다. 또 남대부 73㎏급 개인전에서는 이은결(용인대)이 서울 대표 배동현(한국체대)에게 절반승을 거두고 우승을 차지했고, 남대부 81㎏급 이준환(용인대)도 김대성(충북 청주대)에게 밭다리로 한판승을 따내며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남대부 100㎏급 결승에서는 김세헌(용인대)이 여예준(서울 한국체대)을 상대로 누으며 메치기 한판승을 거두고 정상에 올랐고, 남대부 +100㎏급 결승에서는 김민종(용인대)이 박건우(서울 한국체대)를 안다리 한판으로 제압하고 패권을 안았다. 경기도 유도의 금메달 행진은 여대부에서도 이어졌다. 여대부 52㎏급 개인전 결승에서
김현서(용인 이현중)가 제16회 전국장애학생체육대회에서 2관왕에 올랐다. 김현서는 17일 경북 김천시 김천실내수영장에서 열린 대회 첫 날 수영 남자중등부 자유형 100m S5~S6(뇌성마비) 결승에서 1분35초62로 안성빈(광주광역시·1분49초52)을 제치고 우승했다. 김현서는 이어 남자 중고등부 배영 50m S5~S6 결승에서 51초75로 이수현(전북·58초95)을 따돌리고 1위에 올라 2관왕이 됐다. 또 여자초중등부 자유형 100m S7~S8(뇌성마비) 결승에서는 하다은(고양 한류초)이 2분30초03으로 김현지(충북·4분51초02)를 꺾고 정상에 오른 뒤 배영 초중고 통합 50m S7~S8에서도 1분18초57로 강은지(세종·1분36초20)와 김현지(충북·2분22초04)를 제치고 우승해 2관왕 대열에 합류했다. 구미시 구미시민운동장에서 열린 육상트랙 여자고등부 800m T20(지적) 결승에서는 황영서(광명 운산고)가 3분15초50의 기록으로 이순옥(경남·3분39초68)과 박근혜(전남·4분01초26)를 따돌리고 우승을 차지했다. 또 수영 남자초등부 자유형 100m S14(지적) 결승에서는 김재훈(용인 다움학교)이 1분06초02로 최지안(충북·1분20초34)과
경기대가 2022 양구평화컵 전국유도대회에서 단체전 우승을 차지했다. 경기대는 24일 강원도 양구군 양구문화체육회관에서 열린 대회 5일째 남자대학부 단체전 결승에서 위덕대에 종합전적 3-2로 짜릿한 역전승을 거두고 정상에 올랐다. 지난 3월 열린 2022 순천만국가정원컵 전국유도대회에서 단체전 3위에 올랐던 경기대는 이번 대회 우승으로 올 시즌 첫 정상에 오르는 기쁨을 누렸다. 8강에서 국민대에 부전승을 거두고 4강에 오른 경기대는 진선영, 박상훈, 문규선의 활약에 힘입어 영남대를 종합전적 3-0으로 완파하고 결승에 진출했다. 경기대는 결승전 첫 경기에서 진선영이 상대 이명서에게 한판패를 당한 데 이어 2경기에서도 배성민이 위덕대 권오찬에게 또다시 한판패를 당해 벼랑끝에 몰렸다. 그러나 3경기에서 문규선이 상대 이명훈에게 경기시작 23초 만에 밭다리 한판승을 거두며 역전을 발판을 마련한 경기대는 4경기에서도 박상훈이 이시영을 상대로 허벅다리 절반 두개를 묶어 한판으로 승리해 종합전적 2-2를 만들었다. 승부를 원점으로 돌린 경기대는 5경기에서 81㎏급의 임교빈이 자신보다 덩치가 큰 무제한급(+100㎏급) 김기섭을 상대로 팽팽한 경기를 펼친 끝에 경기 시작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