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작홍사용문학관(관장 손택수)은 계간 문예지 ‘백조’ 봄호(통권 12호)를 발간했다고 29일 밝혔다. ‘백조’는 실국시대에 낭만주의 문학운동을 주도했던 문예동인지 ‘백조’(1-3호, 1922-1923)를 현대적으로 계승해 복간한 계간 문예지이다. 이번 호 특집 코너에는 ‘백조’(1-3호)에 관한 연구 논문 3편이 수록됐다. 특히, 박현수의 글 ‘백조라는 미디어와 홍사용’은 ‘백조 창간 100주년 학술논문 공모’ 지난해 수상작이다. 또한 김신욱 작가의 사진과 김선영 학예사의 글을 통해 화성의 풍경 미학과 인문 지리의 구체성을 세세하게 파악할 수 있다. 창작란에는 다양한 시인 작가들이 참여했으며, 지역 시인들의 작품도 만날 수 있다. 지역문학 리뷰란에는 부산문학과 광주문학 등에 대한 조명을 통해 한국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에 대해서 진단한다. 기고란에는 문학을 둘러싼 매우 특색 있는 2편의 글이 소개된다. 김신정의 글은 일본에서 회자되고 있는 윤동주에 대한 이야기를 담았다. 구자영의 글은 AI시대의 문학의 위상을 다룬다. [ 경기신문 = 정경아 기자 ]
 
								
				일제 강점기 단 한 줄의 친일 집필 활동도 거부했던 노작 홍사용(1900~1947). 그의 문학 세계를 집대성한 전집이 발간됐다. 노작홍사용문학관은 ‘정본 노작 홍사용 문학 전집 1~2권’을 최근 펴냈다. 홍사용은 ‘나는 왕이로소이다’의 시인이자, 문예동인지 ‘백조’(1922)를 창간하며 한국 근대 낭만주의 문학 운동을 이끌었다. 전집 1권은 홍사용의 전 작품을 실었다. ▲시 36편 ▲소설 6편 ▲산문 13편 ▲희곡 4편 ▲평론 2편 ▲기타 3편 등 64편의 작품을 수록했다. 부록으로 생애 연보 및 화보, 작품 연보, 노작 문학 해설, 노작에 대한 근현대 비평, 기사, 연구 목록 등 총 760쪽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으로 구성됐다. 전집 2권은 홍사용 문학 연구를 한 권으로 정리한 연구서이다. 초기부터 현재까지의 학술적 성과를 망라했다. 홍사용에 대한 초기 연구를 비롯해, 성균관대 정우택 교수와 고려대 권보드래 교수, 연세대 구인모 교수 등의 논문이 수록돼 노작 연구의 어제와 오늘을 모두 살필 수 있다. 편찬위원장 최원식 인하대 명예교수를 중심으로 충남대 박수연 교수, 문학평론가 노지영, 문학연구자 허민 등이 편찬위원으로 참여해 한국 근대문학 연구의 전문가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