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 전국동계체육대회 '효자 종목' 빙상이 21회 연속 종목우승을 눈앞에 두고 있다. 도빙상은 19일 제106회 전국동계체육대회 사전경기 쇼트트랙과 스피드스케이팅이 종료된 가운데 금 62개, 은 58개, 동메달 48개 등 총 168개 메달을 획득, 종목점수 525점으로 서울시(금 34·은 32·동 28, 448.5점)와 인천시(금 2·은 12·동 10, 175.5점)를 앞서 선두를 달리고 있다. 도빙상은 20일부터 23일까지 나흘 동안 춘천 송암스포츠타운에서 열리는 피겨 종목을 남겨둔 상황이지만 무난히 종목우승 트로피를 손에 넣을 것으로 전망된다. 도빙상은 스피드스케이팅에서 임리원(의정부여고), 박서현(성남 서현중), 이태성(USC)이 뛰어난 레이스를 펼치며 4관왕에 올랐다. 임리원은 여자 18세 이하부 매스스타트서 7분08초10으로 우승한 뒤 1500m(2분02초77)와 3000m(4분22초92)에서도 패권을 안았다. 이어 팀추월에서는 같은 학교 소속 박은경, 허지안(구리 갈매고)과 팀을 이뤄 경기선발이 3분19초07로 우승하는데 기여하며 네 번째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밖에 박서현은 여자 15세 이하부 매스스타트(6분52초38), 1000m(1분22
‘쇼트트랙 여제’ 최민정(성남시청)이 제105회 전국동계체육대회 첫 경기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최민정은 1일 강원도 춘천시 춘천송암스포츠타운 빙상장에서 사전경기로 진행된 대회 첫날 빙상 쇼트트랙 여자일반부 1500m 결승에서 2분31초294로 같은 팀 소속 김건희(2분31초492)와 박지윤(서울특례시청·2분31초913)을 따돌리고 금메달을 손에 넣었다. 중위권에서 기회를 엿보며 레이스를 이어간 최민정은 두 바퀴를 남겨두고 본격적으로 추격에 나섰다. 아웃코스를 타며 단숨에 1위로 올라선 그는 결승선을 통과하면서 뒤를 확인하는 여유까지 보이며 가장 먼저 결승선을 통과했다. 유수민(수원 이목중)과 강윤하(성남 서현중)는 여자 15세 이하부 1500m 결승에서 각각 2분48초431, 2분48초470을 기록하며 성지유(서울 신도중·2분48초575)를 꺾고 나란히 1위와 2위에 올랐고 여대부 1500m 결승에서는 서휘민(고려대)이 2분34초267을 달리며 김찬서(단국대·2분34초605), 김하은(한국체대·2분35초016)을 앞서 우승했다. 이밖에 남일부 1500m 결승에서는 이성우(고양시청)가 2분26초166으로 은메달을 목에 걸었으며 남녀 12세 이하부 1500m 이
제105회 전국동계체육대회에서 종합우승 21연패에 도전하는 경기도가 사전경기로 진행되는 쇼트트랙에서 278점 획득을 목표로 설정했다. 경기도는 2월 1일부터 4일까지 나흘 동안 강원도 춘천시 송암스포츠타운빙상장에서 사전경기로 열리는 대회 빙상 쇼트트랙 종목에 총 128명의 선수를 파견한다. 앞서 열린 대회 빙상 스피드스케이팅에서 금 35개, 은 28개, 동메달 30개 등 총 93개의 메달을 수집하며 227점을 획득한 경기도는 187점을 올린 ‘라이벌’ 서울특별시(금 14·은 20·동 15)를 누르고 선두를 꿰찼다. 경기도는 쇼트트랙에서 270여점을 따내 1위를 굳히겠다는 각오다. 제104회 대회에서 고등학생 신분으로 3관왕에 올랐던 ‘여자 쇼트트랙 샛별’ 김길리(성남시청)는 이번 대회에서 실업팀 선배들과 메달 경쟁을 펼친다. 성남시청에 합류한 뒤 눈부신 성장을 이룬 김길리는 이번 대회 유력한 4관왕 후보다. ‘한국 여자 쇼트트랙 간판’ 최민정(성남시청)은 여일부 500m와 1500m, 3000m 릴레이에 출전해 다관왕에 도전하며 지난해 여일부 3000m와 3000m릴레이에 출전해 금메달 두 개를 목에 걸었던 김혜빈(화성시청)도 다관왕을 노린다. 남일부에서는
‘한국 여자 쇼트트랙 차세대 간판’ 김길리(성남시청)가 국제빙상연맹(ISU) 월드컵에서 홈 팬들의 열띤 응원을 등에 업고 이틀 연속 금빛 질주를 펼쳤다. 김길리는 17일 서울시 양천구 목동 아이스링크에서 열린 2023~2024 ISU 쇼트트랙 월드컵 4차 대회 여자 1500m 2차 레이스 결승에서 2분23초746의 기록으로 크리스틴 산토스-그리즈월드(미국·2분23초968)와 하너 데스머트(벨기에·2분24초283)를 따돌리고 가장 먼저 결승선을 끊었다. 전날 1차 레이스에서 1위에 올랐던 김길리는 이번 대회 여자 1500m에 걸린 금메달 2개를 싹쓸이했다. 이로써 지난 10월 열린 월드컵 1차 대회 여자 1500m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던 2차 대회와 3차 대회에 이어 이번 대회까지 3개 대회 연속 금메달을 획득하며 1500m 1인자임을 다시한번 입증했다. 김길리는 이번 대회에서만 랭킹 점수 250점을 더해 총점 865점으로 산토스-그리즈월드(805점)와의 격차를 60점으로 벌리며 세계랭킹 1위 자리를 확고히 했다. 세계랭킹 1위 김길리는 레이스 초반 맨 뒤에서 기회를 엿보며 차분하게 레이스를 펼쳤다. 김길리는 하너 데스머트가 12바퀴를 남긴 시점에 갑자기 스퍼트
이시형(고려대)이 2021 네벨혼 트로피 대회에서 남자 싱글 5위를 기록, 베이징올림픽 티켓을 확보했다. 대한빙상경기연맹은 25일 “독일 오베르스트도르프에서 개최된 2021 네벨혼 트로피 대회에서 이시형이 남자 싱글 최종 5위를 기록, 상위 7명에게 주어지는 2022 베이징올림픽행 티켓 추가 획득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시형은 남자 싱글 프리스케이팅에서 기술 점수 73.25점, 예술 점수 75.94점으로 총 149.19점을 기록했다. 지난 23일 진행된 쇼트프로그램에서 79.95점을 획득한 그는 이로써 총점 229.14점으로 총 30명 중 5위를 차지했다. 지난 3월 차준환(고려대)이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2021 ISU 피겨 세계선수권대회에서 총점 245.99로 10위를 차지, 2022 베이징올림픽 남자 싱글 출전권 2장을 확보했다. 하지만 세계선수권대회 프리 스케이팅 출전자가 2명이 되지 않으면 출전권이 완전히 인정되지 않는다는 ISU 규정에 따라 출전권 배정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시형의 활약으로 한국 피겨스케이팅 남자 싱글 역사상 최초로 2명의 남자 싱글 선수가 올림픽 무대를 밟을 수 있게 됐다. 이에 대한빙상경기연맹은 국내 선발전을 통해
대한민국 대표팀이 2021-2022 ISU 피겨 주니어 그랑프리 시리즈에서 메달을 획득했다. 대한빙상경기연맹은 30일 “프랑스 쿠루쉐벨에서 열린 2021-2022 ISU 피겨 주니어 그랑프리 시리즈 1차와 2차 대회에서 한국 선수들이 값진 메달을 목에 걸었다”고 밝혔다. 18일부터 21일까지 열린 이번 대회에서 아이스댄스에 참가한 임해나-예콴 조는 리듬댄스에서 52.22점, 프리댄스에서 89.05점(기술점수(TES) 48.25점, 예술점수(PCS) 40.80점)을 기록, 총점 144.27점으로 3위를 차지했다. 1위는 165.01점을 기록한 미국의 카타리나 울프코스틴-저퍼리 천이 이름을 올렸고, 캐나다의 미쿠 마키타-타일러 구나라 조는 149.39로 2위를 달성했다. 임해나-예콴 조가 따낸 동메달은 시니어, 주니어를 통틀어 ISU 그랑프리 시리즈 아이스댄스 첫 메달이다. 이어 25일부터 28일까지 열린 2차 대회에 참가한 김채연(양수중)은 여자 싱글 쇼트 프로그램에서 66.90점, 프리 스케이팅에서 총점 124.56점(기술점수 67.94점, 예술점수 57.62점, 감점 1점)으로 합계 191.46을 기록하며 2위를 차지했다. 이로써 김채연은 김연아(은퇴·20
이시형(고려대)이 2021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챌런저 시리즈 네벨혼 트로피와 루체른 동계유니버시아드 대회에 나선다. 대한빙상연맹은 23일 “지난 19일과 20일 진행된 파견선수 선발전 남자 싱글 종목에서 이시형이 총점 194.25점으로 1위를 기록, 오는 9월 독일 오베르스트도르프에서 열리는 네벨혼 트로피와 12월 스위스 루체른에서 개최되는 동계 유니버시아드 대회에 모두 출전한다”고 밝혔다. 다음달 열리는 네벨혼 트로피는 2022 베이징동계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남자 싱글 출전 티켓이 걸린 중요한 대회다. 이 대회에서 이시형의 성적에 따라 베이징 대회 피겨 남자 싱글 종목에 출전하는 대표팀의 수가 정해진다 지난 3월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개최된 2021 ISU 피겨 세계선수권대회에서 차준환(고려대)이 총점 245.99점을 기록하며 10위를 차지해 출전권 2장을 따냈다. 하지만 출전권이 2장이더라도 세계선수권 프리 스케이팅 출전자 수가 2명이 되지 않으면 출전권이 완전히 인정되지 않는다는 ISU 규정에 따라 네벨혼 트로피 대회에서 조건에 충족하는 순위를 기록해야만 2명의 선수가 올림픽 무대를 밟을 수 있다. 이시형은 선발전에서 각각 2위와 3위를 기록한 정덕
2023년 ISU(국제빙상연맹) 세계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대회가 대한민국에서 열린다. 지난 2일 국제빙상연맹은 집행위원회 회의를 통해 2022-2023 시즌과 2023-2024 시즌 국제 대회 개최지를 결정했다. 연맹은 2023년 3월 개최 예정인 세계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대회 개최지를 대한민국으로 공식 선정했다. 지난해 12월 관리단체 지정이 해제된 이후 연맹 정상화와 빙상 종목 부흥을 위해 노력해온 대한빙상경기연맹은 2021년 1월 국제 대회 유치를 신청했다. 당초 2020년 3월 서울에서 2020 세계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대회를 개최하고자 했으나, 코로나19로 잠정 연기되면서 최종 취소됐다. 윤홍근 대한빙상경기연맹 회장은 “2016년 서울에서 진행된 세계선수권대회 이후 7년 만에 대한민국에서 개최되는 2023 ISU 세계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대회인 만큼 쇼트트랙 강국인 대한민국의 위상을 다시 한 번 확인하고, 본 대회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적극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소감을 전했다. [ 경기신문 = 김도균 기자 ]
대한빙상경기연맹이 코로나19 여파로 지난 3월에 치르지 못한 2019~2020시즌 스피드스케이팅 2개 대회를 결국 취소했다. 빙상연맹은 1일 홈페이지를 통해 “최근 코로나19가 재확산으로 실내체육시설 및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운영 중단 등 방역수칙이 강화되고 있다”라며 “선수, 지도자, 대회 관계자들의 안전 확보와 함께 대회를 치를 빙상장 부재로 2019~2020시즌에 치르지 못한 잔여 대회의 취소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빙상연맹은 3월 예정됐다가 이달 중 치르기로 미뤘던 ‘제55회 빙상인추모 전국남녀 스피드스케이팅대회'와 '2020 초중고대실 스피드스케이팅대회’를 아예 취소했다. 앞서 빙상연맹은 애초 2월에 예정됐던 2020 전국남녀 종별종합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대회를 8월에 치르기로 했지만 취소한 바 있다. 빙상연맹은 더불어 9월에 예정된 쇼트트랙 종별종합 선수권대회를 취소하고, 쇼트트랙 국가대표 1, 2차 선발전은 잠정 연기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11~13일 목동실내링크에서 예정된 제34회 전국남녀 종별종합 쇼트트랙스피드스케이팅선수권대회는 취소됐다. 또 1차 쇼트트랙 국가대표 선발대회(23~24일)와 제35회 전국남녀종합쇼트트랙스피드스케이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