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프로야구선수협회가 저연차·저연봉 선수 지원 사업을 시작한다고 9일 밝혔다. 지원 대상은 직전 연도에 계약금 없이 육성선수로 입단해 당해 9월 10일에도 선수 신분을 유지하고 있는 전원이다. 고(故) 최동원의 후배 사랑을 기억하는 의미에서 매년 그의 기일인 9월 14일에 지원금을 지급할 계획이다. 시행 첫 해인 올해에는 지난 3년간 입단한 선수 가운데 해당 기준을 충족하는 총 18명에게 지원금을 전달하기로 했다. 협회에 따르면 매년 전체 신인선수의 25∼30% 정도가 계약금 없이 육성선수로 입단하고 이 중 40%만이 1년 뒤에도 선수 생활을 이어가는 것으로 파악됐다. 협회는 “협회 예산 편성을 통해 지원비를 마련하고 점차 기업 후원을 통해 규모를 넓힐 계획”이라고 밝혔다. 협회 회장인 김현수(LG 트윈스)도 2006년 육성 선수로 두산 베어스에 입단해 프로 생활을 시작했고 이후 주전 경쟁을 거쳐 한국야구를 대표하는 타자로 자리매김했다. 김현수 회장은 “프로에 입단했다고 갑자기 경제적 여건이 다 좋아지는 것은 아니다. 글러브, 배트 하나 사는 것도 쉽지 않을 것”이라며 “후배들이 선수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선배들이 뜻을 모아 도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협
지난 시즌 프로배구 여자부 수원 현대건설의 통합 우승에 앞장선 양효진이 2년 연속 연봉퀸에 오르지 못했다. 한국배구연맹은 지난 1일 홈페이지를 통해 2024~2025시즌 프로배구 남녀부 14개 구단의 선수등록을 공시했다고 2일 밝혔다. 연맹이 공시한 자료에 따르면 2023~2024시즌 통합우승을 차지하며 4시즌 연속 챔피언에 오른 인천 대한항공의 세터 한선수가 연봉 7억 5000만원에 옵션 3억 3000만원을 더한 10억 8000만원에 계약해 4시즌 연속 연봉킹에 등극했다. 남자부는 한선수에 이어 대한항공 공격수 정지석(총액 9억2천만원, 연봉 7억원, 옵션 2억2천만원), 안산 OK금융그룹 세터 이민규(총액 9억800만원, 연봉 8억원, 옵션 1억800만원), 천안 현대캐피탈 아웃사이드히터 허수봉(총액 8억원, 연봉 8억원), 수원 한국전력 미들블로커 신영석(총액 7억7천700만원, 연봉 6억원, 옵션 1억7천700만원)이 그 뒤를 이었다. 또 여자부에서는 한국 여자배구의 간판 김연경(인천 흥국생명)과 강소휘(김천 한국도로공사)가 나란히 연봉 5억원, 옵션 3억원, 총 8억원을 받아 공동 1위에 올랐다. 김연경은 3시즌 연속 여자부 최고 보수 선수가 됐다.
프로축구 K리그1 수원FC의 1부리그 잔류에 기여한 이승우가 2023시즌 연봉랭킹 5위에 올랐다. 한국프로축구연맹은 4일 2023시즌 K리그 구단별 연봉 현황을 발표했다. 연맹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이승우는 연봉 11억 1000만원으로 김영권(울산 현대·15억 3000만원), 김진우(전북 현대·14억 2000만원), 조현우(울산·13억원), 홍정호(전북·11억 7000만원)에 이어 5번째에 자리했다. 연봉은 기본급과 각종 수당(출전 수당, 승리 수당, 공격 포인트 수당 및 기타 옵션 등)을 더한 실지급액 기준이며, 수당에는 2022시즌 K리그와 대한축구협회(FA)컵, 아시아축구연맹(AFC) 챔피언스리그 경기에 대한 액수가 포함됐다. 외국 선수 중에서는 대구FC의 간판 세징야가 15억 5000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바코(울산·15억 2000만원), 구스타보(전북·14억 6000만원), 제르소(14억 1000만원), 음포쿠(13억 2000만원·이상 인천 유나이티드)가 뒤를 이었다. 2023시즌 K리그1 11개 구단이 지출한 연봉 총액은 1천385억6천712만3천원으로 집계됐다. 수원 삼성은 연봉 총액 106억 8038만 9000원으로 전북(198억 767만 70
프로야구 kt 위즈의 올 시즌 연봉 상위 40명에 대한 총액이 10개 구단 중 8위인 것으로 확인됐다. KBO 사무국은 20일 2023년 구단별 연봉 상위 40명의 합계 금액을 발표하면서 10개 구단이 샐러리캡 상한액인 114억 2638만 원을 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날 KBO가 발표한 구단별 연봉 상위 40명의 합계액을 보면 kt 위즈는 94억 8300만 원으로 샐러리캡 상한액보다 19억 4338만 원이 적다. 구단별 연봉 총액으로는 10개 구단 중 8번째다. 올해 연봉을 가장 많이준 구단은 두산 베어스로 111억 8175만 원을 기록했고 SSG 랜더스가 108억 4647만 원으로 그 뒤를 이었다. 이어 올 시즌 통합우승을 차지한 LG 트윈스가 107억 9750만 원으로 세번째를 기록했고 롯데 자이언츠(106억 4667만 원)가 4위, 삼성 라이온즈(104억 4073만 원)가 5위를 차지했다. 또 NC 다이노스가 100억 8812만 원으로 6위, KIA 타이거즈가 98억 7771만 원으로 7위에 올랐으며 한화 이글스(85억 3100만 원)가 9위, 키움 히어로즈(64억 5200만 원)이 최하위를 기록했다. KBO는 리그 전력 상향 평준화를 통한 지속 발전
한국프로축구선수협회가 K리그 신인 선수들의 최저 연봉 인상을 요구하고 나섰다. 이근호(대구FC) 선수협 회장은 11일 “프로축구 신인 선수의 최저 연봉은 2016년 자유계약이 처음 도입된 시절부터 지금까지 2400만원으로 변화가 없었다”면서 “살인적 물가상승률과 현재 최저 시급을 고려하면 선수들의 최저 연봉이 너무 적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이어 “현실에 맞게 신인 선수들의 최저 연봉 문제를 시급히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선수협 부회장으로 올 시즌을 끝으로 은퇴를 준비하는 염기훈(수원 삼성)도 “저는 선수 생활의 마지막을 보내고 있지만, 조카뻘인 어린 선수들을 보면 안타깝다”며 “신인 선수들이 ‘투잡’을 할 수 있는 상황도 아니라 운동만 해야 하는 데 이같은 현실이 개탄스럽다"고 밝혔다. 염기훈은 이어 “신인들의 연봉을 많이 올려달라는 게 아니라 기본적인 처우를 개선해달라는 뜻”이라며 “환경이 개선되지 않으면 생계를 걱정하는 선수들이 자연스럽게 승부조작 등 ‘검은 유혹’에 노출될 수 밖에 없는 만큼 조속히 해결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 경기신문 = 정민수 기자 ]
여자프로배구 화성 IBK기업은행의 주포 김희진(31)이 2022~2023 V리그 여자부 보수 총액(연봉+옵션) 3위에 올랐다. 한국배구연맹(KOVO)은 11일 2022 발리볼네이션스리그(VNL)에 출전해 V리그 구단과의 계약을 마무리하지 못했던 여자부 선수 10명의 보수 총액을 공개했다. 김희진은 연봉 4억5천만원에 옵션 1억5천만원 등 총 보수 6억원으로 지난달 30일 선수 등록을 마친 인천 흥국생명의 김연경(7억원·연봉 4억5천만원+옵션 2억5천만원), 대전 KGC인삼공사 이소영(6억5천만원·연봉 4억5천만원+옵션 2억원)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2021~2022시즌 총 3억5천만원(연봉 3억원+옵션 5천만원)을 받아 보수 총액 5위였던 김희진은 이번 시즌 연봉과 옵션이 모두 오르면서 3위로 도약했다. 김희진에 이어 박정아(김천 한국도로공사)가 총 5억8천만원(연봉 4억3천만원+옵션 1억5천만원)으로 4위, 양효진(수원 현대건설)이 총 5억원(연봉 3억5천만원+옵션 1억5천만원)으로 5위에 자리했다. 현대건설 센터 이다현은 1억500만원(연봉 8천500만원+옵션 2천만원), 흥국생명 센터 이주아는 1억1천만원(연봉 8천만원+옵션 3천만원), KGC인삼공
프로배구 여자부에서 9년 연속 ‘연봉 퀸’에 오른 양효진이 연간 보수 총액을 2억원이나 낮춰 소속팀 수원 현대건설과 자유계약선수(FA)로 재계약했다. 현대건설은 팀의 간판 센터 양효진과 3년간 총액 15억원에 재계약했다고 6일 밝혔다. 통산 4번째로 FA 계약을 체결한 양효진의 연간 보수 총액은 지난해 7억원(연봉 4억5천만원+옵션 2억5천만원)에서 5억원(연봉 3억5천만원+옵션 1억5천만원)으로 2억원이 줄었다. 2007년 현대건설에 입단한 뒤 15년간 계속 한 팀에서 뛴 양효진은 기량이 줄어들진 않았지만 내년 시즌 샐러리캡(연봉 총상한제)을 고려해 자신의 보수 총액을 낮춰 계약에 서명했다. 2022~2023시즌 여자부 구단 샐러리캡은 23억원(연봉 18억원+옵션캡 5억원)으로, 모기업과 계열사 광고와 부동산, 차량 제공 등은 옵션캡 5억원 안에서만 지급할 수 있다. 현대건설은 “양효진이 2021~2022시즌 최고 성적에도 코로나19로 시즌이 조기 종료돼 우승컵을 들지 못한 아쉬움을 뒤로 하고 다시 시작하겠다는 결심으로 계약 협상에 임했고, 구단과 팀을 배려하는 모습을 보여줬다”고 설명했다. 현대건설은 2년 전에도 리그 조기 종료로 5라운드 순위 1위로 시
3년 만에 친정팀으로 돌아온 김광현(34·SSG 랜더스)이 활짝 웃었다. 프로야구 SSG랜더스는 16일 인천 오라카이송도파크호텔에서 김광현을 위한 공식 입단식을 열었다. 이날 입단식에는 김원형 SSG 감독을 비롯해 팀 동료인 추신수와 최정이 참석해 그의 복귀를 축하했다. 2019년 말 미국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로 떠난 김광현은 지난 8일 SSG와 연봉 131억원, 옵션 20억원 등 4년 총액 151억원에 계약을 마무리했다. 이는 자유계약선수(FA)·비(非) FA를 모두 포함해 역대 KBO리그 최대 규모의 계약이며, 프로야구를 뛰어넘어 한국 프로스포츠 사상 역대 최고 연봉 신기록이다. SSG 측은 김광현의 올해 연봉만 81억원이라고 발표했는데, 이 또한 추신수가 2년 연속 보유한 역대 KBO리그 최고 연봉(27억원)의 3배에 달한다. 또한 프로배구와 프로농구의 최고 연봉에 10.8배에 이른다. 세터 한선수는 2021~2022시즌 인천 대한항공과 FA계약을 하면서 7억5000만원에 사인했으며, 프로농구 연봉킹 송교창(전주 KCC)도 이번 시즌 7억5000만원(보수총액 기준)을 받는다. 프로축구는 2022시즌이 끝난 뒤 최고 연봉 선수를 발표하는데 2021시
오는 4월 2일 개막하는 2022 프로야구에서 한 시즌 평균 연봉 신기록이 나왔다. KBO는 21일 ‘2022시즌 KBO리그 선수단 연봉 현황’을 공개했다. 신인과 외국인 선수를 제외한 10개 구단 소속 선수 527명의 평균 연봉은 1억 5,259만원으로 집계돼 지난 2019년 기록한 종전 최고 평균 연봉(1억 5,065만원)을 194만원 넘어섰다. 이는 2019년 평균 연봉보다 1.3% 증가한 것이다. KBO는 “KBO리그를 대표하는 핵심 선수들의 대형 자유계약선수(FA) 계약과 비 FA 선수들의 다년 계약이 다수 성사되면서 나온 결과”라고 분석했다. KBO는 또 지난해 억대 연봉 선수가 161명에서 올해 158명으로 줄어들었음에도 평균 연봉이 올라갔다는 것은 고액 연봉자의 연봉 증가가 평균 연봉을 끌어올렸다고 덧붙였다. 프로야구 10개 구단 중 외국인 선수와 신인을 제외한 평균 연봉이 가장 높은 팀은 SSG 랜더스로 2억 7,044만원이다. SSG의 평균 연봉은 지난해 1억 7,421만원에서 무려 55.2% 증가해 10개 구단 중 가장 높은 인상률을 보였다. NC 다이노스가 평균 연봉 1억 8,853만원으로 지난해(1억 4,898만원)보다 26.5% 상승
프로야구 kt 위즈의 간판타자 강백호가 2022시즌 연봉계약에서 최고 인상액을 기록했다. kt는 3일 2022시즌 재계약 대상 선수 58명과 연봉 계약을 마쳤다고 밝혔다. 강백호는 지난 시즌 연봉 3억 1,000만원에서 올 시즌 5억 5,000만원으로 2억 4,000만원이 올라 재계약 대상자 중 가장 높은 인상액을 기록했다. 강백호의 올 시즌 연봉 5억 5,000만원은 지난 시즌 이정후가 기록한 KBO 역대 5년차 최고 연봉 타이기록이다. 또 지난 시즌 1억 2,000만원을 받았던 투수 고영표는 올 시즌 연봉 3억원으로 150%가 인상돼 최고 인상률을 보였다. 고영표는 지난 시즌 26경기에서 11승 6패, 평균자책점 2.92를 기록하는 등 에이스 역할을 했다. 이밖에 외야수 배정대는 지난 해 1억 4,000만원에서 올해 2억 6,000만원으로 1억 2,000만원이 인상되면서 야수 중 인상률(86%)이 가장 높았고 투수 김민수(1억 1,500만원)와 박시영(1억 2,000만원)은 데뷔 후 처음 억대 연봉 반열에 올랐으며, 야수 신본기(1억 1,500만원)도 억대 연봉자에 이름을 올렸다. 이로써 이번 시즌 kt의 억대 연봉자는 13명이 됐다. 반면 지난 시즌 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