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년 만에 올림픽 금메달을 수확한 한국 태권도가 2024 파리 올림픽 개막 14일째를 맞는 9일 종목 두번째 금빛 발차기에 도전한다. 태권도 남자 80㎏급 서건우(한국체대)는 9일 오후 4시21분 프랑스 파리 그랑팔레에서 열리는 대회 태권도 남자 80㎏급 16강전에서 호아킨 추르칠(칠레)을 상대한다. 8강과 4강 대진은 비교적 험난한 편으로 8강에서 껄끄러운 상대 살리흐 엘샤라바티(요르단)를 만날 가능성이 크고, 이기면 4강에서는 올림픽 랭킹 1위 시모네 알레시오(이탈리아)와 격돌할 것이 유력하다. 올림픽 남자 80㎏급에 한국 선수로는 처음 출전하는 서건우는 “선배들이 많은 것을 물려주신 것처럼 나도 후배들에게 멋진 선구자가 되도록 좋은 결과를 내겠다“고 다짐했다. 서건우가 우승을 차지하게 되면 박태준(경희대)에 이어 이번 대회 태권도 두번째 금메달을 목에 걸게 된다. 레슬링 여자 자유형 62㎏급에는 이한빛(전북 완주군청)이 출전한다. 이한빛은 원래 이번 대회 출전권이 없었다가 이달 초 북한 문현경이 출전권을 반납하면서 극적으로 파리행 비행기에 올랐다. 파리 올림픽 아시아 쿼터 대회에서 올림픽 티켓을 따내지 못한 이후 스트레스성 마비 증상까지 겪었던 그는 “
‘한국 여자 근대5종 간판’ 김선우(경기도청)가 2023 국제근대5종연맹(UIPM) 세계선수권대회 혼성 계주에서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김선우는 28일 영국 바스에서 열린 대회 마지막 날 혼성 계주에서 전웅태(광주광역시청)와 팀을 이뤄 펜싱, 수영, 승마, 레이저 런(사격+육상) 성적 합계 1395점으로 모하나드 샤반-살마 압델마크수드(이집트·1413점)에 이어 2위에 올랐다. 2년 연속 호흡을 맞춘 김선우-전웅태는 지난해 세계선수권대회 혼성 계주 우승에 이어 2연패에 도전했지만 아쉽게 준우승했다. 승마에서 291점을 획득해 모하나드 샤반-살마 압델마크수드(300점), 류드밀라 야코블레바-파벨 일리야셴코(카자흐스탄·286점)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점수를 기록한 김선우-전웅태는 펜싱에서 27승, 수영에서 1분56초92를 기록하며 2위로 마지막 경기인 레이저 런에 돌입했다. 우승에 도전한 김선우-전웅태는 선두 모하나드 샤반-살마 압델마크수드와 격차를 좁히지 못하면서 2위에 입상했다. 김선우는 UIPM을 통해 “지난 몇 년 간 혼성 계주 파트너인 전웅태선수와 좋은 활약을 펼쳤다. 오늘 은메달을 획득해 매우 행복하다”며 “승마는 조금 긴장이 됐지만 수영과 레이저
김선우(경기도청)가 2023 국제근대5종연맹(UIPM) 월드컵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김선우는 5일 튀르키예 앙카라에서 막을 내린 대회 혼성계주에서 전웅태(광주광역시청)와 함께 출전해 펜싱, 수영, 승마, 레이저런(사격+육상) 성적을 합산한 총점 1359점을 획득하며 팻 크리스토퍼-카스타우디 레베카 조(프랑스·1338점)와 셉 발라즈-바우어 블랑카 조(헝가리·1332점)를 따돌리고 패권을 안았다. 김선우-전웅태 조는 펜싱과 수영에서 1위를 자치하며 레이저런을 시작했다. 31초의 엄청난 우위를 가지고 레이저런을 시작한 김선우-전웅태 조는 끝까지 1위를 유지하며 가장 먼저 결승선을 통과했다. 김선우는 UIPM 누리집을 통해 “개인전은 너무 아쉬웠지만 (전)웅태와 혼성계주에서 다시 금메달을 따게 되어 너무 기쁘다”고 소감을 전했다. 한편 한국은 2023시즌 월드컵 시리즈에서 금 3개, 은 2개, 동메달 1개를 획득하며 이집트(금 3·은 1·동 3)와 헝가리(금 2·은 2·동 1)를 제치고 종합 1위를 차지했다. [ 경기신문 = 유창현 기자 ]
‘한국 여자 근대5종의 간판’ 김선우(경기도청)가 2022 국제근대5종연맹(UIPM) 세계선수권대회 혼성 계주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김선우는 7월 31일(현지시간)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서 열린 대회 마지막 날 혼성 계주에서 전웅태(광주광역시청)와 팀을 이뤄 펜싱, 승마, 수영, 레이저 런(육상+사격) 점수 합계 1,393점으로 제시카 버레이-조셉 충 조(영국·1,380점)와 부르가 우날-일케 오지우크셀 조(터키·1,376점)를 따돌리고 정상에 올랐다. 김선우는 여자 단체전 은메달과 여자 계주 동메달에 이어 대회 세 번째 메달을 수확했고 전웅태는 남자 계주 금메달에 이어 2관왕이 됐다. 특히 한국은 지난해 서창완(전남도청)-김세희에 이어 혼성 계주 종목 2연패를 달성했다. 한국이 세계선수권대회 한 종목에서 2회 연속 우승을 거둔 건 2016∼2017년 남자 계주(전웅태-황우진)에 이어 두 번째다. 이번 혼성 계주 경기에서 김선우-전웅태 조는 첫 종목인 펜싱 랭킹 라운드에서 27승을 거두며 순조롭게 출발했다. 이어 승마에서 300점 만점을 얻었고, 수영에서도 선두권 기록을 작성한 뒤 레이저 런에서 2위 팀보다 42초나 앞서 출발하며 무난한 우승을 차지했다. 김
206개 참가국 선수들이 33개 종목에서 339개의 금메달을 놓고 경쟁했던 2020 도쿄올림픽이 2024 파리올림픽을 기약하며 17일간의 대장정을 마쳤다. 대한민국은 29개 종목에 354명(선수 232명, 지원 122명)의 선수단을 파견해 금메달 6개, 은메달 4개, 동메달 10개를 획득하며 종합순위 16위를 기록했다. 금빛 화살을 쏜 양궁은 이번 올림픽에서 처음 도입된 혼성단체전에 이어 여자·남자 단체전과 개인전에 나선 안산이 메달을 추가하며 총 4개의 가장 많은 금메달을 획득했다. 안산 선수는 양궁 역사상 첫 3관왕이라는 영예를 안았다. 펜싱에서는 남자 사브르 대표팀(김정환, 구본길, 오상욱, 김준호)이, 체조에서는 신재환이 남자 기계체조 도마에서 금메달을 땄다. 이번 대회를 끝으로 국가대표에서 은퇴하겠다고 조심스럽게 밝힌 ‘배구 여제’ 김연경은 의미있는 역사를 썼다. 그는 지난달 31일 일본과 A조 조별리그 4차전에서 30득점을 기록, 올림픽 최초로 한 경기 30득점 이상을 4차례 기록한 선수가 됐다. 도쿄올림픽에서 우리나라의 마지막 메달은 근대5종에 출전한 전웅태가 기록했다. 그는 근대5종 사상 첫 올림픽 메달을 거머쥐었다. 대회 마지막 날인 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