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아트센터는 내달 9일 소극장에서 2023년 전통문화보존사업 ‘다시 천명(天命), 춤의 길’을 공연한다. 이번 공연은 전통춤 보존·계승에 힘 쓴 고 이애주 명인의 춤 세계를 재조명한다. 이애주 선생의 춤을 끊임없이 수련하고 올바르게 전수하기 위해 결성된 ‘이애주한국전통춤회’와 ‘이애주춤·장단연구회’ 그리고 전통춤의 명맥을 바탕으로 시대정신을 담아내는 경기도무용단이 함께 무대를 채운다. ‘다시 천명(天命), 춤의 길’ 1부 첫 무대는 국가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 보유자 이애주 명인의 완판 ‘승무’ 무대를 재현한다. 그동안 무대에서 자주 선보이지 않았던 ‘긴 승무(완판 승무)’를 예전 모습 그대로 보여 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어서 시국 춤의 상징인 ‘바람맞이춤’과 ‘태평춤’도 선보인다. ‘바람맞이춤’은 1987년 6월 민주항쟁과 관련된 민중의 죽음을 진혼했던 춤으로서, 씨춤, 물춤, 불춤, 꽃춤 네 가지 판으로 구성돼 있다. ‘태평춤’은 한성준·한영숙 선생의 태평무를 기반으로, ‘바람맞이춤’의 춤사위를 재구성한 춤이다. 2부는 ‘살풀이춤’으로 문을 연다. 전통춤의 즉흥적 요소와 무용수의 개성을 담아낼 수 있는 춤으로, 인생의 희로애락을 완벽히 보여 줄
“대부분 외출할 때 화장도 하고 예쁘게 꾸미고 나가는데, 지금 저희는 정말 세수도 안 하고 나온 느낌입니다. 부끄럽지만 그래도 보여드리고 싶었어요.” 무대 위 화려한 조명을 받으며 형형색색의 의상을 갖춰 입고 때로는 우아하게 때로는 역동적인 몸짓을 펼치는 경기도무용단(단장 김상덕)이 ‘민낯’으로 관객을 마주했다. 지난 10일 경기도무용단이 ‘본(本)’ 앙코르 공연을 앞두고 작품 시연 및 관객과 대화 시간을 갖는 ‘더 프리뷰’를 진행했다. 2021년 초연한 작품 ‘본(本)’은 조선 최고 풍속화가의 그림을 무용으로 이끌어 냈으며, 장르와 경계를 허물어 한 작품에 녹여내 관객들의 사랑을 받았다. 이날 더 프리뷰에서는 ‘본(本)’에 등장하는 두 작품 ‘제(祭)’와 ‘흥(興)’의 주요 장면을 시연했다. 사전 신청을 통해 선정된 20여 명의 관객들은 채 1m도 떨어지지 않은 거리에서 경기도무용단의 춤을 감상할 수 있었다. 경기아트센터 누리집을 방문했다가 우연히 신청하게 됐다는 한 시민은 “정말 새롭다. 이렇게 연습실에 와 보는 것도 처음”이라며 “평일 저녁이라 단원들은 조금 힘들 수도 있겠지만 시민들 입장에서는 정말 좋다”고 소감을 전했다. 김혜연 상임단원의 사회로 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