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랑스 예술기행 / 최인숙 / 한길사 / 296쪽 / 2만 3000원 “음악으로 시작된 궁금증은 고흐·밀레·쿠르베 등이 그린 그림의 세계로, 카뮈·발자크·보들레르 등이 받은 영감의 장소로 이어졌다. 작은 빗방울이 거대한 강물을 이루듯, 이 책 또한 한 사람의 소소한 퀴리오지테(Curiosite, 궁금증)가 모여 탄생했다”(저자의 말 中) 프랑스에서의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음악과 미술 등 프랑스 문화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최인숙의 신간 ‘프랑스 예술기행’이 발간됐다. 최인숙은 전북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한국교육개발원(KEDI) 연구원과 두산동아에 재직한 후 프랑스로 유학을 떠났다. 파리 3대학과 파리7대학에서 각각 석사학위를 취득했고 이후 일본 히토츠바시대학 사회심리학 박사과정 교환학생으로 수학, 파리 시앙스포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빠리정치 서울정치’, ‘기본소득, 지금 세계는’, ‘지방소멸, 세계를 가다’가 있으며 현재는 고려대학교 정치연구소 선임연구원, 경기신문 논설주간, 문화칼럼니스트로 활동 중이다. 신간 ‘프랑스 예술기행’은 이런 작가의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프랑스 문화적·예술적 유산을 여행하듯 안내한다. 24명의 프랑스
◆기본소득, 지금 세계는/최인숙·고향갑 지음/구름바다/236쪽/1만5000원 재산·노동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국민에게 동일한 최소 생활비를 개별적으로 무조건 지급하는 소득분배 제도인 ‘기본소득’이 연일 화두로 거론되고 있다. 이쯤되면 ‘대체 기본소득이 뭐길래’하는 궁금증이 생길 수 있는데, 15일 출간된 ‘기본소득, 지금 세계는’을 읽어보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최인숙 고려대학교 불평등과 민주주의연구센터 연구교수와 고향갑 극작가가 쓴 이 책은 ▲기본소득의 역사와 개념 ▲기본소득이 실행되고 있는 지금 세계의 상황 ▲우리나라의 불평등 구조로 인해 소외된 사람들의 이야기를 생생하게 담고 있다. 누구도 예상치 못한 코로나19가 전 세계를 휩쓴 상황에서 국가가 나서 무상의료를 펼치지 않았다면, 재난지원금을 풀지 않았다면 우리의 삶은 어땠을까? 이 책은 위기에 직면한 세계가 새로운 전환을 맞이하는 지점에서 인간의 존엄을 지키며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설계할 것을 정부와 자본에 요구한다. ◆1부, 최인숙 교수가 말하는 기본소득과 세계의 상황 파리3대학에서 ‘선거여론조사 공표가 여론에 미친 영향’을 연구, 파리7대학에서 ‘일본 정치시스템의 현대화와 1993년 총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