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전시 티켓 판매액과 관람객이 전년보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파크는 최근 ‘2022 전시 관람 트렌드’ 결과를 발표했다. 올해 1월 1일부터 12월 7일까지 인터파크에서 예매된 전시 티켓 판매액과 관람객은 전년 동기에 비해 각각 47%, 33% 늘었다. 인터파크 측은 단계적 일상 회복(위드 코로나)에 들어서며 전시장 방문객 수가 많아진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엠지(MZ)세대가 전시 수요를 견인한 점이 눈에 띈다. 실제 전시 티켓 예매자 중 20대가 39.7%로 가장 많았다. 이어 30대 31.0%, 40대 18.8%, 50대 이상 8.4%, 10대 2.1% 순이었다. 남녀 비중은 여성이 74.9%로 남성 25.1%의 3배 수준으로 나타났다. 올해 가장 많은 사랑을 받았던 전시는 관람객 수 기준 ‘어느 수집가의 초대-고(故) 이건희 회장 기증 1주년 기념전’이 차지했다. 지난 10월 25일에 개막한 ‘합스부르크 600년, 매혹의 걸작들’이 2위에 올랐고 3위는 ‘팀 버튼 특별전’, 4위는 ‘장 줄리앙’, 5위는 그룹 방탄소년단(BTS)의 최근 9년간의 활동을 다양한 콘텐츠로 구현한 ‘2022 BTS EXHIBITION : Proo
 
								
				수원시가 고(故)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기부 미술품을 전시하는 ‘이건희 미술관’유치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수원시 내 정치 인사들이 미술관 유치에 적극 나서면서 지역 사회의 관심과 기대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김승원(더불어민주당·수원갑)의원은 삼성전자 본사와 이건희 회장 묘소가 있는 수원시에 이건희 미술관을 유치할 수 있도록 적극 나서달라 요청한 바 있다. 이어 시는 지난 4일 염태영 시장을 주재로 한 회의를 열고 이건희 미술관 유치를 주제로 비공개 회의를 진행했다. 회의에 참석한 제1·부시장, 기획조정실장 등은 정부의 동향과 지역 여론 등을 공유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따라 도시정책실과 문화체육교육국 등 관련 부서는 후보 부지 물색과 지역 정치권과의 협력 방안에 나섰다. 수원시는 이건희 박물관 건립에 높은 가능성을 보고 있다. 삼성전자 본사와 삼성가 묘역이 수원시에 위치해 있다는 것과 컬렉션 중 '화성성역의궤' 등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수원화성과 관련한 작품들이 다수 있다는 것도 명분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교통망이 충분히 갖춰져 있다는 것도 박물관 건립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앞서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지난달
 
								
				고(故)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기부 미술품 2만3000여 점 중 세계문화유산 수원화성과 관련한 유물들은 수원화성박물관으로 이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삼성 일가는 지난달 28일 고(故)이건희 회장이 40여 년간 수집한 미술품을 국립 박물관에 기증하겠다고 밝혔다. 2만여 점의 미술품 중 ‘화성능행도 8폭 병풍’과 ‘환어행렬도’ 등 수원화성 관련 미술품이 공개됐다. 수원시는 해당 미술품은 수원화성과 화성행궁 등 수원을 배경으로 한 작품들이며, 정조대왕의 수원행차와 관련된 직접적인 유물이기 때문에 수원화성과 정조시대를 전문으로 다루는 수원화성박물관에서 소장해야 한다고 필요성을 제기했다. 공개된 '화성능행도'는 8폭 병풍으로 보물 제1430호로, 1795년 수원행차의 주요 행사 모습을 다루고 있다. 혜경궁의 봉수당진찬연을 비롯한 수원향교 참배, 낙남헌양로연, 득중정에서의 활쏘기, 서장대를 중심으로 수원화성 군사훈련 장면 등이 담겨있다. ‘환어행렬도’는 8일 동안 수원행차를 마치고 환궁하는 정조대왕의 국왕행렬이 지지대를 통과해 시흥행궁으로 진입하는 장면을 묘사하고 있다. 이 밖에도 고(故) 이건희 회장이 소장하고 있을 가능성이 큰 ‘화성성역의궤’와 ‘원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