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문화재단은 오는 17일 절기 ‘하지’를 맞아 수원전통문화관에서 세시풍속-북새통 ‘이번 여름 뭐 하지’ 행사를 진행한다. 하지는 농사 준비와 풍년을 기원하는 절기로, 하지 행사를 축제 분위기로 준비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여름을 대표하는 매미 소리가 나는 매미 장난감 만들기, 하지의 대표적인 음식인 감자를 이용한 감자 샌드위치 만들기, 농경 생활을 체험할 수 있는 짚신 신고 물지게 나르기, 절구 찧기, 감자 캐기 등의 체험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또한 축제 분위기 조성을 위한 젠틀기프터즈의 스윙댄스 공연도 진행한다. 젠틀기프터즈는 국내·외 다수의 스윙댄스 대회 입상 경력이 있는 단체로 방문객들을 즐겁게 만들어 줄 린디합, 빅애플 등의 공연을 선보인다. 세시풍속-북새통 ‘이번 여름 뭐 하지’는 사전 예약 없이 오전 10시30분부터 현장 접수를 통해 참여 가능하다. 수원전통문화관 관계자는 “하지를 맞아 여름에 어울리는 전통체험들과 방문객들이 배워보며 참여 가능한 스윙댄스 공연도 준비했으니 시민들이 더위를 잊고 즐거운 시간을 보내셨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 경기신문 = 고륜형 기자 ]
어느덧 봄이 가고 날씨가 점점 더워지기 시작하며 여름이 다가왔다. 올해 6월 21일은 낮의 길이가 가장 길고 태양의 남중고도가 가장 높아진다는 하지(夏至)이다. 우리나라 24절기 중 열 번째로 태양이 황도상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한다는 하지는 ‘여름에 이른다’는 뜻을 지녔다. 모내기와 보리베기에 알맞은 때인 망종(芒種)과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된다는 소서(小暑) 사이의 시기로 음력으로는 5월, 양력으로는 대개 6월 22일 무렵이다. 동지(冬至)에 가장 길었던 밤 시간이 조금씩 짧아지기 시작해 이날 가장 짧아지는 반면, 낮 시간은 일년 중 가장 길어진다. 태양으로부터 열을 많이 받아 기온이 상승해 하지 이후로 몹시 더워진다고 한다. 예로부터 농촌에서는 하지가 지날 때까지 비가 내리지 않으면 기우제(祈雨祭)를 지냈다고 전해 내려오는데 관련된 속담을 보면 알 수 있다. ‘하지가 지나면 구름장마다 비가 내린다’는 속담은 하지가 지나면 장마가 시작돼 이때는 구름만 지나가도 비가 온다는 뜻이다. 강원도 평창군에서 유래한 ‘하짓날은 감자 캐먹는 날이고 보리환갑이다’라는 속담도 있다. 이는 하지 무렵 감자를 캐어 밥에다 넣어 먹어야 감자가 잘 열린다는 의미와 더불어 하지가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