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뮤지컬 시장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예술경영지원센터 공연예술통합전산망 ‘2023년 총결산 공연시장 티켓판매 현황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대한민국 뮤지컬 시장은 약 4591억원으로 성장한데 이어 올해도 열기를 그대로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지난 6월까지 뮤지컬 시장의 티켓판매액은 2200억원으로 지난해와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완성도 높은 다양한 소재의 창작뮤지컬들과 이미 검증된 유명 작품들이 연이어 쏟아지면서 뮤지컬시장은 그야말로 호황을 맞고 있다. 특히 10주년을 맞은 공연들이 저마다의 매력으로 관람객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다. 지난 6월 5일 개막한 창작 뮤지컬 ‘프랑켄슈타인’은 올해 다섯 번째 시즌을 이어가고 있다. 2014년 초연해 제8회 ‘더 뮤지컬 어워즈’에서 9개 부문을 수상했다. 개막 10주 만에 매출액 100억 원을 돌파하며 단일 시즌 최대 매출 기록을 경신하기도 했다. '프랑켄슈타인'은 1818년 출간된 메리 셸리의 동명소설을 원작으로 신이 되려 했던 인간과 인간을 동경했던 피조물의 이야기를 통해 인간의 이기심과 생명의 본질을 탐구하는 작품이다. 출연 배우들 모두 1인 2역을 맡은 것이 특징이다. 9월 7일 개막하는
kt 위즈가 31일 '2023시즌 팬북'을 발간했다. 이날 발간된 팬북에는 미국 애리조나 투산 스프링캠프의 화보와 팀에 새로 합류한 김상수, 보 슐서 등의 인터뷰가 실려있고 2023년 신인 선수들의 10문10답을 만나볼 수 있다. 또 창단 10주년 기념 콘텐츠도 즐길 수 있다. 창단 맴버로 줄곧 kt에서 활약한 선수 6명의 특별 인터뷰가 실려있고 10주년 화보에서는 kt 대표 선수들의 변천사를 확인 할 수 있다. 선수단 소개에서는 선수들의 친필 사인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을 마련했고 이벤트 페이지에서는 팬들의 사연을 응모할 수 있다. 이후 추첨을 통해 선수 친필 사인이 담긴 유니폼, 모자 등을 증정할 예정이다. 팬북은 4월 1일부터 구단 온라인 및 오프라인 MD샵에서 구매 가능하며 가격은 2만원이다. 2023시즌 시즌권 회원과 어린이 회원에게는 팬북을 우료로 증정한다. [ 경기신문 = 유창현 기자 ]
K3리그 화성FC가 ‘창단 10주년 기념’ 유니폼을 공개했다. 화성FC는 2023시즌 창단 10주년을 맞아 시즌 슬로건인 ‘THE HISTORY MOMENT’를 베이스로 한 10주년 유니폼 디자인을 공개한다고 8일 밝혔다. 화성FC는 이번 유니폼에 역사와 전통을 상징함과 동시에 시민구단으로서 연고지와 동행하는 철학과 앞으로의 빛날 미래를 담아냈다. 올시즌 10주년 유니폼에서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연고지의 시화, 시목 등 대표 상징물 들을 패턴화 한 부분이다. 전면부에 패턴을 담아 연고지와 함께 나아가는 상징성을 담았고 새롭게 리뉴얼 된 구단 엠블럼과 더불어 창단 10주년 기념 패치를 부착했다. 또 가슴 중앙 부분에 10주년 기념패치와 좌측 하단 기념 로고를 적용해 창단 10주년의 의미와 특별함을 담았고, 후면에는 2014년과 2019년의 우승을 상징하는 기념 패치를 추가해 역사와 전통의 의미를 더 했다. 홈 유니폼은 화성FC의 심볼 컬러인 주황색을 상의, 하의, 스타킹까지 통일해 역사와 정체성을 강조했으며, 새롭게 탈바꿈한 넥라인을 적용해 고급스러움을 표현했다. 원정 유니폼은 흰색을 바탕으로 홈 유니폼과 동일한 패턴을 회색과 조합해 통일감과 자연스러움을 표
경기도어린이박물관(관장 표문송)이 오는 2021년 개관 10주년을 앞두고, 박물관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새로운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학술연구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그 중심에는 '어린이 웃음'이 자리한다. 그리고 그것은 '웃음'과 '행복'을 연결시키는 고정관념을 버리고, 아이들에게 웃음의 의미가 무엇인지 진지한 질문을 던지며 시작됐다. 올해는 어린이의 웃음을 진단하는 설문지 개발을 완료하고, 내년에는 이를 활용해 연구와 심층 면담을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이어 2022년, 2년 동안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관찰과 실험 상황을 활용한 '어린이와 웃음' 연구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그 첫 결과물로, 2020 어린이 문화예술 콜로키움 '어린이와 웃음'을 9일 개최하고, 총 세 가지의 주제발표 시간을 가졌다. 첫 번째는 '어린이와 웃음에 대한 이해-연구사례를 중심으로' 였으며, 1차적으로 어린이의 발달 단계별, 사회문화 정서적인 측면에서 볼 수 있는 어린이의 특성을 살폈다. 다음 순서로는 이번 프로젝트의 핵심 연구과제인 '어린이 웃음 특정 설문지(지표) 개발 과정 및 타당성 검토'에 대한 발표가 진행됐다. 이에 따르면 진단 설문지는 ‘어린이가 언제, 어떻게, 왜, 웃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