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2분기 가계 빚이 3개월 만에 증가세로 돌아서며 700조 원에 육박했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2분기 중 가계신용 동향’에 따르면 6월말 가계신용 잔액은 697조7천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금융기관의 금융기관의 가계대출(661조5천억 원)과 신용카드 등에 의한 판매금액(36조2천억 원)을 합친 금액이다.
가계신용 잔액은 전분기 보다 14조1천억 원이 증가한 규모이며 전년 동기 대비로는 19조8천억 원이 늘어났다.
6월말 가계신용 잔액을 통계청이 집계한 올해 전체 가구 수(1천691만7천 가구)로 나누면 가구당 부채는 4천124만 원 수준으로 나타났다.
가계 빚 증가 원인은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가계대출이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한은은 설명했다.
가계대출의 금융기관별 동향을 보면 예금은행 대출은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전분기 보다 8조2천억 원 증가했다.
비은행금융기관의 대출은 전분기 대비 2조9천억 원, 기타금융기관 대출은 2조7천억 원이 늘어나면서 각각 전분기 감소세에서 증가세로 전환했다.
이는 여신전문기관 대출의 감소폭이 축소되고, 주택금융공사의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국민주택기금 등의 대출 증가폭이 확대됐기 때문이다.
지역별로는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의 가계대출 잔액은 290조 원으로 7조1천억 원이 늘어나 전분기의 증가폭(4조 원)을 웃돌았으며 비수도권 역시 강원과 경남ㆍ북을 제외한 모든 지역의 가계대출이 늘어 전분기 5천억 원 감소에서 1조1천억 원 증가로 돌아섰다.
한편 판매신용은 전분기 보다 3천억 원이 증가했다.
여신전문기관의 판매신용은 소비심리 회복 등으로 2천억 원 늘어났으며 판매회사의 판매신용도 자동차 세제지원 등의 영향으로 1천억 원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