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수지 흑자에 따른 외환보유액 증가로 우리나라가 1년여 만에 순대외채권국으로 복귀했다.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국제투자대조표(잠정)’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한국의 순대외채권(대외 채권-대외 채무)은 29억8천만달러로 6월 말보다 94억1천만달러 증가했다.
순대외채권이 분기 말 기준으로 플러스를 기록한 것은 지난해 6월 말(14억달러) 이후 1년3개월 만에 처음이다.
순대외채권은 2006년말 1천208억4천만달러였지만, 차츰 감소했고 작년 9월 말에는 세계적인 금융위기 여파로 8년6개월 만에 순채무국으로 전환됐다.
작년 말 순대외채무는 300억7천만달러로 증가한 뒤 올해 들어 감소세를 보이면서 지난 6월 말 64억3천만달러로 줄었다.
한은은 이같은 현상에 대해 경상수지 흑자 기조에 따른 외환보유액의 증가때문으로 분석했다.
대외채권은 9월 말 현재 4천4억9천만달러로 6월 말보다 283억3천만달러 증가했다. 통화당국 준비자산이 225억1천만달러 급증했고 무역신용 등 비은행금융회사와 기업 등 기타부문과 예금취급기관도 각각 42억8천만달러와 10억8천만달러 증가했다. 일반정부는 5억3천만달러 감소했다.
대외채무는 3천975억달러로 6월 말보다 189억2천만달러 늘었다.
단기외채가 11억4천만달러 감소했지만 장기외채는 200억6천만달러 증가했다.
이에 따라 대외채무에서 단기외채가 차지하는 비중은 36.8%로 6월 말보다 2.1%포인트 하락했으며 총외채에 대한 예금취급기관의 단기외채 비중은 27.5%로 0.5%포인트 하락했다.
6월 말 기준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대외채무 비율은 46.8%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멕시코(18.3%)와 일본(42.9%)보다 높았지만 미국(94.0%), 독일(155.9%), 프랑스(189.4%), 홍콩(299.5%), 영국(396.4%)보다는 크게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