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0대 수출품과 10대 수입품이 전체 수출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0년이래 가장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10대 수출품의 수출액은 2천585억달러로 총 수출액 대비 61.3%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1998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이다.
10대 수출품이 총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98년 52.4%에서 2006년 60.0%까지 상승하다 2007년 52.6%로 감소했다.
최대 수출품은 선박해양구조물로 431억달러에 달했고, 이어 석유제품(376억달러), 무선통신기기(357억달러), 자동차(350억달러), 반도체(328억달러), 평판디스플레이(187억달러), 철강판(159억달러), 합성수지(149억달러), 자동차부품(140억달러), 컴퓨터(107억달러) 등이 10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1998년 이후 줄곳 1위 자리를 놓고 경쟁했던 자동차와 반도체는 지난해 처음으로 1, 2위 자리를 내줬다.
지난해 10대 수출품의 비중이 급증한 것은 선박 수주가 크게 늘어나고 국내 정유사들이 벙커C유 등 저부가가치 제품을 경유나 휘발유 등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전환하는 고도화설비 비중을 높여 석유제품의 수출이 크게 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지난해 10대 수입품의 수입액은 2천161억달러로 총 수입액의 50.0%를 차지, 역시 10년이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10대 수입품이 총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98년 44.6%에서 2006년 46.5%까지 올랐으나 2007년 41.0%로 급감했다.
최대 수입품은 원유로 859억달러를 기록, 2000년 이후 8년째 1위를 고수했다. 이어 반도체(320억달러), 천연가스(198억달러), 석유제품(175억달러), 철강판(172억달러), 석탄(128억달러), 컴퓨터(97억달러), 합금철선철및고철(80억달러), 정밀화학원료(69억달러), 동제품(63억달러) 등의 순이었다.
10대 수입품의 비중이 커진 것은 환율의 영향으로 원유의 수입 가격이 크게 올랐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