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수출·입물가가 환율하락에도 불구하고 원자재가격 상승의 영향으로 3개월만 동반 상승했다.
1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1월 수출입물가 동향’에 따르면 수출물가는 전월대비 0.2% 올라 지난 8월(0.2%) 이후 3개월만에 플러스로 돌아섰다.
부문별로는 농림수산품이 전월대비 1.4% 상승했다.
공산품은 석유화학 및 고무제품이 크게 올랐고, 전기장비제품도 소폭 상승했으나 금속1차제품과 일반기계 및 장비제품, 검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제품, 운송장비제품 등이 하락해 전월대비 0.2%의 오름세를 보였다.
지난달 수입물가는 전월대비 1.9% 상승했다. 수입물가 역시 지난 9월(-1.9%), 10월(-1.1%) 마이너스를 보이다 3개월만에 플러스로 전환됐다.
자본재(-0.7%)와 소비재(-0.4%)가 환율하락의 영향으로 감소한 반면 원자재(4.4%)와 중간재(1.0%)는 원유가격 상승으로 오름세를 보였다.
부문별로는 원자재에서 천연고무가 8.3%로 가장 많이 올랐고, 밀 5.3%, 대두 6.8%, 원면 3.7% 등은 상승했다. 또 원유는 5.1%, 액화천연가스는 5.8%, 유연탄은 6.1% 각각 상승했다.
중간재에서는 휘발유가 4.1%, 경유가 3.9%, 프로판가스가 13.7%의 상승률을 각각 나타냈다. 금속제품으로는 금괴 6.9%, 동 4.3%, 백금 13.1% 등의 비율로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