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8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전기료 인상, 경영회복 걸림돌?

도내 中企 “지난해 투입된 정책자금 상환 맞물려 이중고” 반발
10% 내외 오를시 원가상승 초래 경영난 가중

도내 중소기업들은 최근 정부가 겨울철 전기요금을 인상할 것으로 알려지자 이는 기업의 경영 회복을 막는 걸림돌이 될 것이라며 큰 우려를 나타냈다.

특히 올해부터는 지난해 대규모로 투입됐던 정책자금의 상환이 시작돼 기업들의 경영 부담은 이중고를 겪을 것으로 전망된다.

18일 도내 기업들에 따르면 정부는 겨울철 전력 사용량이 급증하는 추세를 반영해 계절별 전기요금 체계를 여름과 겨울에 동일 요율을 적용하는 방식 등으로 바꾸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만약 계절별 전기요금 체계가 동일 요율로 변경되면, 겨울철 요금은 현행보다 10% 내외 정도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도내기업들은 전기료 인상이 원가상승을 초래해 경영난을 가중시킬 것이라며 반발했다.

수원에서 의료기구 제조업체를 운영하는 S업체 김모(51) 대표는 “최근 도내 기업들의 공장 가동률이 4개월 연속 상승하는 등 지난해 경영 위기에서 최근 회복세로 돌아섰다”며 “하지만 이러한 중요한 시점에 전기료 인상은 찬물을 끼얹는 격”이라며 반발했다. 또 화성에서 전기장비를 생산하는 C업체 김모(57) 대표는 “만약 전기료가 10% 인상 되면 매월 500~600만원의 전기료 중 약 50만원 이상이 추가적으로 늘어나는 꼴이지만 ‘을’의 입장인 중소기업은 원가에 포함시키기 쉽지 않아 경영 부담이 될 수 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더욱이 올해부터 정책자금 등의 상환시기가 돌아오는 현 상황에서 이런 인상은 당분간 유예해야한다는 주장이다.

지난해 도내에서 집행된 정부 정책자금은 총 9천억원으로, 이 중 1년 거치를 끝내고 올해부터 상환을 시작하는 자금은 총 1천177억원, 업체 수는 630여개다.

김포에서 노인용품 제조업체를 운영하는 최모 (52)대표는 “지난해에 받은 정부의 정책자금이 올해부터 상환에 들어가면서 자금의 압박이 시작되고 있는데 기업 대출 및 보증의 신용도를 좌우하는 국세 중 하나인 전기료의 인상은 하반기 이후로 유예해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옳다”고 강조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