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28일 “제조업의 체감경기가 7년여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한국은행이 최근 2천325개 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1월 기업경기조사 결과’에 따르면 1월 업황 기업경기실적지수(BIS)는 지난 2002년 4분기(96)이후 가장 높은 93을 기록했고 지난해 12월보다는 4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2월 43까지 떨어진 업황 BIS는 10월 92까지 상승했다가 11월과 12월 89로 주춤 했지만 이번에 반등했다.
다음 달 업황 전망 BIS도 92로 1월 전망보다 2포인트 올라 2개월째 상승했다.
인력의 과부족과 관련한 인력시장 BIS는 93포인트로 지난해 12월보다 1포인트 떨어졌다.
이 수치는 100이하로 내려 갈수록 인력부족을 느끼는 기업이 더 많다는 뜻이다.
반면 대기업은 인력사정 BIS가 97에서 99로 높아진 반면 중소기업은 93에서 91로 내려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인력 수요가 다르게 나타났다.
매출 BIS는 6포인트 오른 108을 기록한 가운데 수출은 5, 내수판매는 7포인트 각각 올랐다. 또한 생산, 신규 수주 가동률 BIS도 6~8포인트씩 올랐다.
설비투자 실행 BIS는 98에서 3포인트 오른 101로 당초 계획보다 설비투자를 늘리겠다는 기업이 많아졌다.
비제조업 업황 BIS는 3포인트 내렸지만 다음 달 업황 전망치는 3포인트 올라 같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경영애로사항을 묻는 조사에서는 ‘내수 부진’이라고 답한 비율이 17.6%로 2.1%포인트 하락한 반면 ‘환률 요인’이라고 답한 비율은 3.9%포인트 상승한 16.2%였다.
이에 한국은행 관계자는 “제조업의 체감경기가 좋아지면서 설비투자를 늘리겠다는 기업이 많아지고 있다”며 “새로운 투자가 확대 돼 일자리 창출로 인한 서민 경제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