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사태로 남북관계가 악화되면서 남북경협기업의 대부분이 손해를 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기업의 평균 피해액은 10억여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500개 기업(남북경협기업 200개, 비경협기업 300개)을 대상으로 ‘남북경협에 대한 기업 인식’을 설문조사한 결과, 경협기업의 93.9%가 천안함 사태에 따른 정부의 대북교역 금지조치로 손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8일 밝혔다.
또 66.5%는 피해정도가 ‘경영난’을 겪을 정도로 심각하다고 답했고, 평균 피해액수는 ‘9억7천400만원’으로 집계됐다.
피해유형은 ‘사업 올스톱에 따른 투자비 및 영업손실(51.9%)’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수주 감소(26.0%)’와 ‘운송비 등 부대비용 증가(22.1%)’ 등을 꼽았다.
실례로 북한에서 무연탄을 수입해 오던 A사는 남북교역이 막히자 수입선을 중국, 베트남, 러시아 등으로 대체하려 하지만 각국의 지하자원 확보경쟁이 치열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A사의 임원은 “이대로 가면 작년에 비해 금년 매출액은 100여억원 이상 줄어들 전망”이라고 털어놨다. 또 천안함사태를 통해 우리 기업의 대북사업에 대한 관심이 크게 위축된 것으로 확인됐다.
응답업체 10곳 중 8곳(82.7%)은 “경협여건이 정상화되더라도 북한에 신규진출하거나 기존사업을 확대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그 이유로는 ‘북한체제의 불확실성에 따른 경영외적 위험(76.9%)’과 ‘통행불편 등 제도·절차상 애로(13.7%)’를 들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한반도평화와 통일여건을 조성해야 하는 우리로서는 남북경협은 숙명이자 최선의 방안”이라며 “북한의 실질적 변화를 유도하기 위한 정책과 더불어 남북경협기업에 대해 교역보험 가입부담 완화, 개성공단 통관절차 및 인력수급 원활화, 경영안정을 위한 신용대출 지속 확대 등의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