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30대 대기업임원의 최종학력은 ‘해외대학’ 출신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잡코리아(www.jobkorea.co.kr)는 지난 6월 금융감독원에 제출한 매출액 기준 상위 30대 대기업의 반기보고서를 토대로 최종학력을 공개한 임원 2천78명의 학력현황을 분석했한 결과, 30대 대기업 임원의 최종학력 비율은 ‘해외대학’이 17.0%(354명)로 가장 많았다고 5일 밝혔다.
이어 ▲서울대10.8%(225명) ▲고려대 8.4%(174명) ▲연세대 6.3%(131명) ▲한양대 5.1%(105명) ▲성균관대 4.8%(100명) ▲부산대 4.8%(99명) ▲KAIST 4.1%(85명) ▲경북대 3.8%(78명) ▲영남대3.1%(65명) 순으로 집계됐다.
매출액 상위 5위까지 기업임원의 최종학력은 매출액 1위 삼성전자의 경우, ‘해외대학’이 15.9%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성균관대(9.3%) ▲서울대(8.3%) ▲고려대(7.4%) ▲경북대(7.0%) ▲한양대(6.1%) ▲KAIST(5.4%) ▲연세대(5.0%) 등의 순이다.
우리은행도 ‘해외대학’이 31.8% 비율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고려대(13.6%) ▲서울대(9.1%) ▲건국대(9.1%) ▲성균관대(4.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에스케이에너지는 매출액 5위 기업 중 유일하게 최종학력이 국내대학 출신임원이 가장 많았다. ‘서울대’가 21.5% 비율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해외대학(20.4%) ▲고려대(20.4%) ▲연세대(12.9%) ▲KAIST(8.6%) 등이 뒤를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