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환율 급락 등 금융시장이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국내기업 10곳 중 7곳 이상이 환율리스크에 무방비로 노출된 것으로 드러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전국 5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국내 기업들의 금융 리스크 헤지 실태와 정책 과제 조사’ 결과, 전체 응답기업의 26.4%만이 환율 리스크 헤지 상품에 가입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17일 밝혔다.
이에 대해 대한상의측은 “환율리스크의 경우 선물환이나 환율파생상품을 통해 리스크를 완화하지 못하면 급격한 환율변동에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셈”이라고 풀이했다.
환율리스크 가입기업 중 금융리스크 헤지상품에 가입하고 있는 기업이 30.8%로 가장 높았고, 환율에 이어 원자재 리스크 헤지상품 가입기업은 6.6%, 금리는 6.4%, 신용은 3.0% 순으로 조사됐다.
규모별로 환율리스크에 대비책을 세우고 있는 대기업이 23.0%, 중소기업은 28.7%로 나타났다.
대기업의 원자재 헤지상품 가입비중은 10.0%, 금리는 9.5%, 신용 4.0% 순이며 중소기업은 원자재 4.3%, 이자율 4.3%, 신용 2.3% 순으로 집계됐다.
금융리스크 헤지 상품의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는 응답기업의 59.8%가 ‘그렇다’고 대답했다.
상의측은 “이는 실제 가입률에 비해 그 필요성은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이라며 “정보부족과 비용부담, 복잡한 가입절차 등이 상품 접근성을 떨어뜨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금융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정부에게 바라는 지원책으로는 ‘리스크 헤지 상품 가입 지원(37.6%)’, ‘관련 교육 제공(35.6%)’, ‘리스크 헤지 필요성 홍보(18.4%)’, ‘관련 공기업의 지원 확대(8.4%)’ 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