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행 부적합 판정을 받은 CNG버스의 대다수가 수도권 지역에 여전히 운행 중인 것으로 밝혀져 정밀 점검 및 운행 정지 등의 조치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지식경제위원회가 19일 한국가스안전공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국정감사에서 충전구 및 배관연결 불량 등으로 인해 1천718대의 CNG버스가 운행부적합 판정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결과는 가스공사 측이 지난 8월10일부터 9월30일까지 현재 운행 중인 CNG 버스 2만4천356대를 전수 검사한 결과다.
부적합 판정을 받은 1천647대는 운행 정지 후 시정조치가 이뤄졌지만 나머지 71대는 아직 시정 중으로 운행정지 된 3대를 뺀 68대는 여전히 불량 상태로 운행 중인 것으로 드러났다.
현재 운행 중인 부적합 CNG버스 68대는 경기서부지역 39대, 경기동부지역 17대, 기타 지역 12대인 것으로 알려졌다.
운행 부적합 이유로는 ‘용기부식’이 전체의 절반이 넘는 57.7%(41대)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도색불량 28.2%(20대), 용기 고무패드 밀림 9.9%(7대), 용기 긁힘 4.2%(3대) 순으로 나타났다.
신용보증기금은 19일 녹색성장산업 관련 기업에 지난달까지 2조8천953억원을 지원했다고 밝혔다.
신보는 이날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 본점에서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녹색성장산업 영위 기업은 최고보증한도를 70억원으로 확대, 운용하고 보증료율을 우대 적용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신보는 올해초 정부의 녹색성장전략 추진에 적극적으로 부응하기 위해 녹상성장산업 영위기업에 2조원을 지원할 계획이었으나 지난달 이미 목표치를 8천953억원 초과 달성했다.
신보 관계자는 이와 관련 “이미 애초 목표를 초과 달성했지만 앞으로 남은 기간에도 녹색성장산업 기업이 지원을 요청하면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신보는 또 지난달 현재 수출기업에 5조4천762억원을 지원해 연간계획(6조5천억원)의 84.3%를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신보는 금융위기 이후 중소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중소기업이 수출 관련 자금을 요구하면 최고보증한도를 70억원으로 확대, 운용하고 부분보증비율을 우대 적용했다.
신보는 금융위기 극복을 위해 한시적으로 운용했던 신용보증 확대조치는 단계적으로 정상화하고 있다.
상반기에는 중소기업의 자금부담 완화를 위해 전액 만기연장을 했지만 하반기부터는 선별적 만기연장으로 전환했으며 신규보증에 대한 보증한도는 하반기부터 신용보증확대조치 이전 수준으로 환원했다.
반면 유동성 부족기업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운용했던 ‘패스트트랙(Fast Track)’ 프로그램은 오는 12월말까지 연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