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5 (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부천 캠프머서 인근주민 20여년 동안 지하수 음용

화학물질 매립의혹 시기 63~64년 상수도 80년대 초 설치
현재 8천여가구 거주… 농업용수로도 사용 불안감 확산

■ 개정된 ‘경기도 도시재정비위원회심의기준’

부천시 오정동 미군기지 화학물질 매립의혹과 관련, 군 부대 인근 주민들이 상수도시설이 설치된 80년대 이전에는 지하수를 음용수로 사용했던 것으로 드러나 매립에 의한 수질오염여부가 관심사로 떠올랐다.

26일 부천시에 따르면 부천시 오정구 오정동 117 일대 40여만㎡에 주둔했던 옛 미군기지(캠프 머서) 주변 현재 8천여가구 주민들이 거주하고 있다.

여기에는 시가 지난 1980년대 초반에 구획정리를 하면서 군 부대 인근 농경지와 자연부락에 상수도시설을 설치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따라서 그 이전에 거주했던 일부 주민들은 지하수를 음용해왔으며, 그 일대 농경지에 농업용수를 사용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퇴역한 주한미군 레이 바우씨가 블로그를 통해 증언한 내용을 살펴봐도, 군 부대내에 화학물질을 매립한 시기는 1963~4년으로 매립여부가 사실이고 토양이 오염됐다면 20년 가까이 부대 인근 주민들이 오염된 음용수와 농업용수를 사용한 것이 된다.

부천시 관계자는 “오정동 인근 논·밭이 대부분이 농경지와 자연부락 형태여서 상수도 시설 설치가 다른 지역보다 늦어졌다”며 “상수도가 설치되기 이전에는 주민들이 지하수를 음용수와 농업용수로 사용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부천시는 주민들의 동요와 불안감 확산을 막기 위해 안내문을 주민들에게 배포할 계획이다. 국방부도 이날 부천시 오정동 옛 미군기지에 대한 민·관·군 공동조사단을 구성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국방부는 이미 지난 25일 매몰예상지역을 확인하고, 당시 부대 배치도 등을 미측에 요청키로 의견을 모았다.

이에 따라 군 부대 내 화학물질이 매립이 사실로 확인된다면, 주민들의 반발 등 그 파장은 일파만파로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부천의 한 주민은 “어린 시절을 회상하면 상당수의 주민들이 지하수를 음용수로 사용해왔다”며 “화학물질 매립시기가 수도시설이 들어오기 20년 전이므로 매립이 사실이라면 오염된 지하수를 먹었던 주민들의 큰 반발을 살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시는 군 부대 주변에 위치한 37곳 지하수 관리공 중 부대와 가장 인접한 9곳의 수질표본을 추출해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과 공동으로 수질오염 검사에 나섰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