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7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4.11 총선 예비후보들 ‘선거용 경력’ 판친다

‘무늬만 교수’인 경우 많고 정치권도 배려 차원서 부대변인 임명 남발

4.11총선에 나선 출마 예비후보들의 석연치 않은 ‘선거용 경력’이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실질적인 활동이 크게 미흡한 선거용의 단기속성 경력으로 인해 사실상 유권자들의 선택을 호도하거나 왜곡, ‘관행’처럼 굳어지면서 정치권의 거센 개혁풍과 제도 개선을 무색케 하고 있다.

대표적인 선거용 경력으로는 무보수 봉사직의 ‘무늬만 부대변인’과 함께 ‘각종 교수’가 꼽히고 있다. 현행 공직선거법상 정식 임명장을 받아 소속 직함으로 등재된 사실이 확인될 경우에는 저촉되지 않는다.

25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예비후보로 등록한 경기도내 345명과 인천지역 89명 중 직업별 분포에서 선출직을 제외한 정치인이 189명으로 가장 많고 변호사 31명, 교육자 26명, 회사원 14명 등 순으로 나타났다.

눈길을 끄는 대목은 도내 예비후보의 주요 경력 중 43명이 ‘각종 교수’ 출신이다.

겸임전임강사를 포함한 겸임교수만 17명, 객원교수 6명, 외래교수와 초빙교수·석좌교수 각 2명, 겸직교수·주임교수·연구교수 1명씩 등이다.

교수 직군의 다양화와 동시에 전문성을 반영한 대학측의 교수직 영입·위촉이 확산되고 있으나, 실제 연간 강의를 맡거나 본연의 교수직군과 차이를 가진 경우도 많아 ‘선거용 경력’으로 활용되는 사례도 적지 않다.

6.2지방선거 당시 실제 강의조차 하지않은 채 대학내 연구소장의 비공식 위촉으로 연구교수 경력을 내세웠다 선거법 위반으로 기소되면서 벌금형으로 기사회생한 도내 H시의 경우 이같은 ‘선거용 경력’을 활용한 사례다.

선거를 앞둔 여·야 정치권의 무더기 부대변인 임명도 ‘배려’ 차원의 경력관리를 위한 관행으로 굳혀지고 있다.

대부분 비상근의 부대변인으로 실질적인 역할없는 ‘선거명함용 경력’으로 임명되면서 사회적 편견에 기댄 채 유권자들의 인식이나 판단을 왜곡시키는 정치권의 악습이라는 지적마저 낳고 있다.

도내 예비후보들의 부대변인 경력은 7명에 불과하나 선관위 경력에 등재하지 않은 후보를 합하면 20여명에 육박하고 있다.

한나라당의 경우 지난해 9월 무려 44명에 달하는 부대변인을 깜짝 발표했다. 하지만 부대변인 임명에서 탈락한 인물들이 크게 반발하면서 10월중에 추가로 40명을 발표한다는 얘기가 나돌다 적절성 논란까지 불러일으키며 백지화되기도 했다.

민주당 역시 지방선거를 앞둔 2010년 1월에 임명된 부대변인 43명 중에서 수석부대변인 1명과 상근 부대변인 4명을 제외한 나머지 38명은 비상근 부대변인으로 채웠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