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도테마파크 조성사업이 지난해 인천시와 부영그룹 간 협상 결렬 이후 좀처럼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27일 시에 따르면 지난해 5월 ㈜부영에 도시개발사업과 테마파크사업을 분리해 테마파크 부지는 사전협상제도를 통한 도시개발사업으로 전환, 도시개발사업 부지는 기부채납을 통해 공공기여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이는 시가 추진하는 ‘송도유원지 르네상스 마스터플랜’에 부영이 소유한 92만 6000㎡ 규모의 부지를 포함하기 위한 조치다.
마스터플랜은 송도유원지 일대 2.6㎢를 8개 블록으로 나눠 개발하는 내용이 핵심이다. 이중 부영이 소유한 부지는 전체 면적의 30% 이상을 차지한다.
하지만 부영이 시의 제안을 거절하며 협상은 결렬됐다.
협상 과정에서 부영은 기존 도시개발사업 계획인 공동주택 3900가구를 6900가구로 확대하는 방안 등을 추가로 요구했다.
시는 이 같은 요구가 무리하다고 판단하면서도 제안은 유효하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해를 넘긴 지금까지도 부영은 시의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송도테마파크 부지의 오염 토양 문제도 7년째 해결되지 않고 있다.
지난 2018년 전체 부지의 77%에 해당하는 38만 6449㎡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발암물질이 검출됐다.
연수구는 지난 3월까지 부영을 상대로 오염 토양 정화 명령을 4차례 내렸지만 여전히 이행되지 않고 있다.
부영은 2027년 3월 11일까지 4차 정화 명령을 이행해야 한다. 다만 부영이 이미 3차례나 명령을 어긴 만큼 4차 명령을 이행할 지는 미지수다.
게다가 지난해 개정된 토양환경보전법 시행규칙으로 부영이 정화해야 할 토양이 기존보다 82% 줄어 정화 비용도 수억 원가량 절감됐다.
지난 2월 토양오염 정화명령 상습 위반 시 가중 처벌하는 내용을 담은 토양환경보전법 일부개정법률안이 발의됐지만 아직 국회에서 계류 중이다.
시는 사업의 정상화를 위한 행정 조치를 검토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대선을 앞두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도 나란히 송도테마파크 조성을 인천지역 공약으로 발표해 기대를 모으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부지를 소유한 부영이 지금처럼 버티기 전략을 고수한다면 사업은 정체 상태를 벗어나기 어려워 보인다.
시 관계자는 “테마파크 사업과 도시개발 사업은 실시계획 인가까지 나있는 상황”이라며 “부영이 이행하지 않는 부분에 대한 매듭을 풀기 위해 내부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박지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