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광복 80주년을 맞아 국내외 거주 독립유공자 후손 7명을 14일 수원 도담소로 초청해 간담회를 가졌다.
이날 초청한 후손들은 연해주 한인사회 교육자 계봉우 선생의 손녀 계 다찌야나(75)·외증손자 박유리(50)·증손녀 계 올가(32)·외 현손자 김 드미트리(25), 의열단원 이동화 선생의 외손녀 주 용용(68)·외 현손 며느리 손 추분(45), 김산의병의 참모장 왕산 허위 선생의 손자 허 블라디슬라브(75) 씨다.
이들은 각각 카자흐스탄, 중국, 키르기스스탄에 거주 중이다.
국내에서는 김종진 선생의 손자인 김호동 광복회 경기지부장, 오희옥 지사의 아들인 김흥태 씨, 안중근 의사의 외 현손녀인 최수아 어린이와 그 부친 최재황 씨가 참석했다.
김 지사는 “역사를 잊은 민족은 미래가 없다. 경기도가 역사 바로 세우기를 중앙정부나 어떤 지방정부보다 가장 앞장서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래서 (광복절 경축식에) 독립지사의 후손들을 초청하고 오늘 식사를 모시는 것”이라며 “집으로 초대한다는 것은 특별한 환영과 진정성을 담은 것이라고 생각해 달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도는 경기도독립기념관 건립을 약속했고 독립운동가 80인을 선정해 내일 광복절에 마지막 78·79·80번째 독립운동가를 공개한다. 앞으로도 역사 바로 세우기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이날 80주년 광복절 경축식 초대장을 전달했다.
또 김 광복회 경기지부장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들이 도자기를 판매해 독립운동 자금을 조달한 역사에 착안해 경기도 명장들이 재능기부로 제작한 도자기를 선물했다.
도자기 함 뚜껑 안쪽에는 ‘광복 80년, 독립운동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흙을 빚어 세상을 밝고 빛나게 하는 도자기처럼 조국의 광복을 위해서 모든 것을 바치신 순국선열들의 뜻을 기억하고 계승하며 존경의 마음을 담아 당신께 드립니다’라는 문구가 적혔다.

한편 도는 광복회 경기도지부와 ‘광복 80주년 기념 안중근 의사 유묵(붓글씨) 귀환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이는 ▲長歎一聲 先弔日本(장탄일성 선조일본) ▲獨立(독립) 등 유묵 두 점을 국내로 귀환시키는 프로젝트다.
‘長歎一聲 先弔日本(장탄일성 선조일본)’은 “큰 소리로 길게 탄식하며, 일본의 멸망을 미리 조문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안 의사가 일본제국 관동도독부(여순감옥과 재판부를 관장)의 고위 관료에게 건넨 작품으로 이후 그 관료의 후손이 보관해왔으나 도가 협상을 통해 국내로 들여왔다.
그러나 ‘獨立(독립)’은 아직 일본에 있다.
‘獨立(독립)’은 뤼순 감옥에서 안중근 의사가 직접 써서 일본인 간수에게 건넨 것으로 ‘나는 조국의 독립을 위해 죽는다’는 굳센 신념을 두 글자로 응축한 대표작이다.
도는 프로젝트 성사 시 DMZ지역에 ‘안중근 평화센터’를 조성해 안중근 기념사업, 추가 유묵 발굴수집, 동아시아 평화 교류를 위한 연구와 포럼 등을 이어갈 계획이다.
[ 경기신문 = 이유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