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대기 및 하천·토양의 다이옥신 농도가 기준치를 크게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보건환경연구원은 ‘2011년 다이옥신 오염실태 조사결과’를 발표, 지난해 수원·안산·고양 등 10개 시·군의 대기조사에서 다이옥신 평균농도가 1㎥당 0.265pg-TEQ로 나타났다고 15일 밝혔다.
이는 2010년 0.211pg-TEQ/㎥에 비해 약간 높지만, 우리나라 대기환경기준(0.6pg-TEQ/㎥)에 비해 훨씬 낮은 수치다.
반월·시화·포승 등 3개 공업단지에 대한 토양조사에서는 1g당 다이옥신 평균농도가 1.138pg-TEQ로 나타나 일본 토양환경기준(1천pg-TEQ/g)의 1천분의 1 수준에 머물렀다.
경안천·안양천·신천 등 13개 하천의 수질조사에서는 1L당 다이옥신 평균농도가 0.067pg-TEQ를, 퇴적토조사에서는 1g당 평균 1.020pg-TEQ를 보였다.
이는 일본 하천수질기준(1pg-TEQ/L), 퇴적토기준(150pg-TEQ/g)보다 크게 낮은 수준이다.
도 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도내 대기·토양·하천·퇴적토 모두 선진국 기준과 비교할 때 오염수준이 매우 낮았다”며 “점진적으로 조사지점과 횟수를 확대해 심도있는 조사결과를 도출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