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 예상했던 대로 경기도의회 민주통합당 의원들은 도정질문을 통해 김문수 지사에 대한 놓고 파상공세를 펼쳤다.
이에 맞서 새누리당은 ‘과도한 정치공세’라며 맞불을 놨고, 김 지사도 강경한 입장 표명을 통해 분위기를 압도했다는 평가다.
2일 열린 경기도의회 제267회 임시회 도정질문에서 민주통합당 의원은 관권선거 논란의 책임을 물으며 지사직 사퇴를 강력히 촉구했다.
김종석(민·부천) 의원은 도청 문건 논란과 관련해 “이는 분명한 관권선거로 김 지사도 도의적인 책임이 있다”라며 “문제가 불거진 뒤 해당 공무원을 사직토록 했지만 책임을 회피하기 위한 꼬리자르기에 불과하다”라며 김 지사를 압박했다.
이어 “대선 출마는 자유지만 민심을 거스르면 대선주자가 될 수 없다”라며 사퇴를 촉구했지만, 김 지사는 “사퇴하지 않겠습니다”라고 단호하게 쐐기를 박았다.
반면 새누리당의 윤태길(하남) 의원은 민주당 의원들을 겨냥해 ‘과도한 정치공세’라고 맞받아쳤다.
윤 의원은 “현행법상 지사직을 유지하고 경선에 참여할 수 있음에도 무슨 이유로 사퇴를 해 도정공백을 초래하고 보궐선거 비용을 낭비해야 하나”라며 “경기도지사직에 욕심을 갖고 있는 특정 국회의원들의 김 지사 사퇴를 종용하라는 지령을 내렸고 이에 야당의원들은 지령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는데 이는 당리당략에 휘둘려 도의원의 자존심을 버리는 행위”라고 비난했다.
윤 의원의 이같은 발언에 대해 김현삼(민·안산) 의원은 “상부의 지령은 있을 수 없음은 물론이고 이같은 발언은 지방자치를 부정하는 것”이라며 “이는 해당 의원들을 비롯해 소속 정당에 대한 모독적 발언”이라며 사과를 요청하는 등 여야간 팽팽하게 대립했다.
하지만 민주당 의원들의 이같은 공세에 대해 일부에서는 오히려 김 지사에 페이스에 말려들어가는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김 지사가 민주당의 압박으로 등 떠밀리 듯 사퇴, 도정공백과 보궐선거 비용 등의 부담에서 자유로워지려는 의도가 있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민주당 역시 이같은 부담감을 안고 있는 상황에서 3일 예정된 두번째 도정질의에서 어떤 수위로 김 지사의 사퇴를 압박할 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