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통하는 의회’를 의정활동 목표로 삼고 있는 제8대 경기도의회가 계속된 소통없는 ‘일방통행’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도의회 운영위원회(위원장 김주삼)는 10일 의원연구단체의 사후심사를 강화하는 안을 골자로 한 ‘경기도의회 의원연구단체 구성과 운영조례 전부개정조례안’을 수정 가결했다.
수정안은 당초 개정안의 연구활동비의 목적 외 사용을 금지한 조항을 삭제했다.
또 의원연구단체 운영심사위원회(이하 위원회) 구성과 관련해서는 입법정책담당관과 도의원 5명 외부인사 7명으로 외부인사를 2명 늘렸다. 대신 개정안에서 위원장을 의원을 제외한 위촉위원 중에서 해야한다는 조항을 삭제하고 현행대로 의원인 위원 중에서 호선토록 했다.
문제는 운영위가 수정안을 만들면서 발의의원인 홍정석(민·비례) 의원과 단 한차례의 논의도 없었다는 점이다. 홍 의원은 수정안 가결 소식을 운영위가 산회를 선포한 후에야 전달받았다.
이날 운영위는 심의과정에서 발의자인 홍정석(민·비례) 의원의 제안설명을 들은 후 질의응답없이 이미 상임위에서 심도있는 논의를 거쳤다며 수정안 가결을 속전속결로 처리했다.
당초 홍 의원은 다른 것은 양보할 수 있어도 위원장을 외부인사로 해야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절대 양보할 수 없다고 못박아왔다.
이와 관련해 홍 의원은 의원총회를 비롯해 대표단 면담, 운영위원회와의 논의 과정에서도 정확하게 전달해 왔던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운영위가 이처럼 ‘막무가내’ 조례안 처리를 불사하자 홍 의원은 이대로 두고보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홍 의원은 우선 오는 17일 예정된 본회의에서 의사진행발언이나 반대토론 등을 통해 이같은 운영위의 횡포를 지적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어 원래의 전부개정안의 내용을 포함한 일부수정안을 새로 작성해 다음 회기에 발의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두고 양당 교섭단체는 ‘위원장은 의원이 맡아야 한다’는 기존 입장을 철회할 뜻이 없다는 것을 분명히 해 이번 사안을 두고 앞으로도 마찰이 예고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