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산하 공공기관 직원의 이직률이 10%에 육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의회 조광명(민·화성) 의원이 14일 도로부터 제출받은 ‘경기도 산하기관(단체) 이직률’ 자료를 분석한 결과 25개 기관의 2011년 이직률은 8.4%, 전년도인 2010년에는 9.1%를 기록했다.
인원수로는 2011년 257명(정원 3천251명, 현원 3천76명), 2010년 279명(정원 3천129명, 현원 3천76명)이었다.
도의료원의 경우 2년간 272명(2010년 128명, 2011년 144명)의 직원이 근무조건이나 급여 등이 더 나은 상급병원으로의 취업이나 개인사정, 결혼 등으로 자리를 옮겼다. 이는 도 산하 공공기관 전체 이직자 536명의 절반을 넘어서는 수치다.
경기문화재단은 2011년 20명, 2010년 23명이 계약만료 및 의원퇴직(이직 및 개인사정) 등을 이유로 직장을 떠났다.
이외에 경기영어마을이 구조조정과 의원면직 등으로 16명, 경기도문화의전당이 전직이나 학업·질병 등을 이유로 이직한 것으로 조사됐다.
비율로 보면 2011년의 경우 현원 24명 중 7명이 육아휴직 후 퇴직, 건강상 이유로 떠난 경기대진테크노파크가 이직률 29.2%로 가장 높았다. 2010년에는 의원면직 등 사유로 현원 28명 중 10명이 떠난 경기복지재단이 35.7%로 가장 높았고, 관광개발본부 업무 및 인력 이관(도시공사) 및 개인사유로 현원 79명 중 27명이 자리를 옮긴 경기관광공사가 34.2%의 이직률을 보였다.
조 의원은 “계약직 등이 많은 산하 공공기관의 특성을 이해하더라도 10%에 가까운 이직률이 나오는 것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며 “업무의 연속성을 위해서라도 근무조건이나 복지 향상 등 이직률을 낮출 수 있는 방안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