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1인 가구 10곳 중 7곳은 주거환경이 열악한 저소득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개발연구원 이외희 선임연구위원은 30일 발표한 ‘경기도 가구특성 변화에 따른 주택정책과제’ 보고서에서 2010년 통계청의 인구주택 총조사 및 국토해양부의 주거 실태조사를 분석한 결과 도내 1인 가구 71.7%가 저소득층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학력은 초등학교 졸업 이하 18%, 월세 비율 43.2%, 다가구 단독주택 비율 36.9%로 일반 가구보다 주거환경이 매우 열악했다.
특히 60대 이상 고령 1인 가구의 경우 저소득층 비율이 90%를 넘었다.
도내의 1인 가구는 2010년 20.3%에서 2030년 28.7%로 증가하고 2인 가구는 같은 기간 중 21.6%에서 31.2%로, 고령 가구는 13.3%에서 30.6%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외국인 유입과 국제결혼이 크게 늘면서 다문화가구도 증가추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같은 ‘나홀로 가구’의 증가에 대비하기 위해 공공임대주택의 공급 확대와 미분양 민간임대주택의 적극 활용을 제안하고, 고령 가구에 대해서는 기존 주택의 개조 지원 및 노인복지서비스 확충, 독거노인을 위한 그룹홈 확대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지역사회 내 사회 연결망을 조성할 수 있도록 커뮤니티의 활성화, 물리적 주거환경의 조성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