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덴만 영웅’ 석해균 선장을 살려낸 아주대병원이 보건복지부가 선정한 ‘권역외상센터’에서 제외돼 경기도가 즉각 반발했다.
김문수 지사는 지난 2일 긴급기자회견을 통해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전국 권역별 중증외상환자센터 선정에서 아주대병원과 의정부 성모병원 등 경기도 내 병원이 모두 제외된 것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앞서 보건복지부는 지난 1일 가천대길병원, 경북대병원, 단국대병원, 목포한국병원, 연세대원주기독병원 등 5개 병원을 권역외상센터 지원 대상기관으로 선정·발표했다.
경기도는 지난해 기준, 국내 중증외상환자 1만9천252명 가운데 30%인 5천870명이 발생한 중증외상환자 최다발생지역이다.
김 지사는 이 자리에서 “경기도는 지난 2011년부터 헬기로 중증외상환자를 후송해 생명을 구하는 국내 최초의 중증외상환자 살리기 사업인 ‘석해균 프로젝트’를 아주대 이국종 교수와 함께 추진, 현재까지 100여명의 생명을 구했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또 “이 같은 노력에도 불구, 이번 중증외상센터 선정에서 경기도가 제외된 것은 납득할 수 없다”며 보건복지부가 심사위원의 명단과 평가결과 자료를 국문에게 투명하게 공개할 것을 촉구했다.
이어 아주대병원 이국종 교수는 “지난해부터 빈약한 장비 등 부족한 부분이 많지만 도와 함께 석해균 프로젝트를 실시해 우리나라의 중증외상환자 치료에 새 지평을 열었다고 생각한다”며 “국책사업을 통해 부족한 부분을 보완, 장기적으로는 국제 기준에 맞는 국제적 치료체계의 표준을 구축하려 했는데 무산돼 대단히 슬프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아주대병원 시스템에 문제가 있어 탈락됐다는 건 받아들이기 힘들다”며 “아주대병원이 제시한 안은 부족한 인력과 시설에도 미국 학회에서 따르는 표준지침서, 국제 기준에 근접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낸 것인데 이를 국내 현실에 맞지 않다고 하는건 적절치 않다”고 꼬집었다.
권역 외상센터에 선정되면 외상전용 중환자실, 수술실, 입원 병상확충 등 외상전용 시설장비 설치에 80억원 및 외상전담 전문의 충원계획에 따라 매년 7억~27억원(최대 23명)까지 연차적으로 인건비가 지원된다.
경기도는 아주대병원이 권역 외상센터로 선정될 경우 240억원을 지원해 1만1천100㎡ 부지에 지하 2층, 지상 5층, 120병상 규모의 중증외상센터 건물을 신축할 계획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