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8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도내 13개 대학 유치되면?

연간 1조2천억원 소득창출
도내 1만명 고용창출 효과

경기도내 9개 시·군에서 추진 중인 13개 대학이 모두 유치되면 연간 1조2천385억원의 소득창출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또 도내에서만 1만284명, 전국적으로는 1만1천71명의 고용창출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분석됐다.

경기개발연구원 김태경 연구위원은 19일 ‘대학유치에 따른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연구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현재 도내에서는 북부 6곳과 남부 3곳 등 9개 지자체에서 서울대와 서강대, 중부대, 을지대 등 13개 대학 캠퍼스 이전을 추진 중이다. 이들 대학의 총 정원은 6만5천696명이다.

도내 대학은 수도권정비계획법에 따른 수도권 대학신설 규제로 지방대학에 비해 2배의 교육수요를 감당해야 한다.

특히 북부지역의 경우 2011년 기준 진학희망자가 2만8천여명에 달하지만 4년제 대학의 입학정원은 4천명으로 단 14%만 수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들 대학을 모두 유치하게 되면 도내 교육수요 해결은 물론, 도내 대학생 정원 1명에 의해 연간 창출되는 소득효과가 1천885만원으로 총 1조2천385억원의 소득창출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추산됐다.

또 13개 대학의 운영비용 4천921억원을 지역에 투입, 도내 1만284명을 비롯해 전국적으로 1만1천71명의 고용을 창출할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김 연구위원은 성공적인 대학유치를 위해 도가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하고, 해당 시·군은 무분별한 실적위주의 대학유치를 지양해 보다 내실 있는 유치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와 함께 정부는 수도권 내 4년제 대학·교육대학·산업대학이 자연보전권역으로의 이전할 수 있도록 수정법 시행령을 개정하고, 경기북부지역에 대한 대학입지 관련 규제의 전면폐지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태경 연구위원은 “경기도로 이전을 추진하고 있는 대학들은 지역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향으로 포지셔닝해야 한다”며 “해당 지역의 전통산업과 연계된 대학 R&D분야 유치 및 특성화전략이 이뤄지면 대학 유치와 함께 파급효과가 배가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배너


COVER STORY